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인적청산 문제가 당 개혁의 최대 고비로 떠올랐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청산 대상자들이 다 탈당해야 하는 건 아니다”며 수위 조절에 나섰지만, 친박 핵심들은 지도부의 방침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었다.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이 최후통첩 시한으로 내건 6일이 중대 분수령이다.
정 원내대표는 1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참배 후 기자들과 만나 “친박당 이미지를 완전히 쇄신하지 않고는 당이 재건될 수 없다”며 “지금 죽는 게 앞으로 더 살 수 있는 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언론에서 보도되듯 (인적청산 대상이) 그렇게 확대된 인물들은 아니다”며 “최소한의 분들은 책임지는 모습을 가져 달라”고 강조했다. 정용기 원내수석대변인도 여의도 당사 브리핑에서 “다 탈당해야 하는 것처럼 비쳐지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며 “사회봉사활동, 2선 후퇴, 탈당 등 여러 방안이 있다”고 했다.
지난 30일 인 비대위원장의 인적청산 요구 이후 당 안팎에선 서청원 최경환 의원과 이정현 전 대표 등 5∼10명의 이름이 대상자로 거론됐다. 정 원내대표는 확대 해석을 경계했지만 여권 내부에선 오히려 친박 핵심 1∼2명으로는 자진 탈당이 불가피하다는 뜻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됐다.
서청원 최경환 홍문종 윤상현 등 친박계 의원 10여명은 이날 시내 모처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고 대응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좌장 격인 서 의원은 인 비대위원장의 일방적인 인적청산 추진에 대해 ‘절차적 문제가 있다’는 불쾌감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최 의원 역시 “차라리 날 죽이라”며 거센 불만을 토로했다는 전언도 나온다. 현재 강원도에 칩거 중인 이 전 대표는 ‘탈당’과 ‘정계 은퇴’ 입장만 전달하고 참석하지 않았다. 하지만 회동에선 인 비대위원장의 방침을 ‘막가파’로 비판하며 이 전 대표를 만류하는 분위기였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한 친박계 핵심 의원은 “지역구 의원은 선거로 유권자 선택을 받은 사람”이라며 “함부로 당적을 버릴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인 비대위원장은 대상포진 치료 등을 이유로 현충원 참배와 당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인 위원장은 최근 “잠도 잘 못 자고, 밥도 제대로 못 먹는다”며 인적청산에 대한 부담감을 토로하고 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최경환 “차라리 날 죽여라”… 인적 청산에 반기
입력 2017-01-02 0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