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64·사법연수원 10기) 특별검사팀은 새해 첫날부터 국정농단 사태의 핵심 인사들을 잇따라 소환하며 수사 고삐를 바짝 죄었다. 우선 수사력을 집중하는 부분은 정부 차원의 조직적 압박 결과 삼성에 막대한 이익을 안긴 국민연금의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찬성 의결권 행사 배경이다.
특검은 1일 오후 ‘제1호 구속자’인 문형표 국민연금 이사장을 소환해 조사했다. 그는 지난 28일 긴급체포 이후 연일 특검에 불려와 강도 높은 조사를 받고 있다. 특검은 그가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있던 지난해 7월 합병 성사 결론을 예정한 사실상의 ‘시나리오’를 만들어 두고 투자위원들에게 압력을 행사한 정황을 다각도로 포착한 상태다. 장관실 면담, 전화 연락 등으로 거듭 찬성 의결 독려를 받은 투자위원들은 “장관님 뜻에 반항할 수 없었다”고 특검에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 수사를 받기 이전에는 국민연금 관련 의혹을 줄곧 부인했던 문 이사장은 최근 들어서는 “청와대와 협의해 찬성을 독려했다”는 식으로 진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 이사장은 애초 외부 전문위원들이 배제된 내부 투자위원회에서 찬성 의결이 이뤄진 점에 대해서도 절차적 정당성을 주장했다. 하지만 이제 위증죄 심판도 받게 될 전망이다.
특검은 이날 같은 시각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도 소환조사했다. 특검은 삼성전자가 최순실씨와 장시호씨가 운영하던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 거액을 후원한 배경을 계속 수사 중이다. 김 전 차관은 지난 29일 공판준비기일에서 “최순실씨와 공모한 적도 삼성을 압박한 적도 없다”는 취지로 혐의를 부인했다.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해서도 동시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특검은 리스트 관리 등 사업을 총괄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송수근 문체부 차관이 수사선상에 있다고 밝혔다. 특검은 “블랙리스트를 본 적도 없다”는 조윤선 문체부 장관에 대해 “위증 혐의로 고발해 달라”고 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요청했다. 2일에는 홍성담 작가의 ‘세월오월’이 전시되지 못하게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송광용 전 교육문화수석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한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靑과 고리’ 캐낸다… 고삐 죄는 특검
입력 2017-01-01 18:30 수정 2017-01-01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