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인명진(사진) 비상대책위원장이 30일 “박근혜정부에서 당대표를 했던 사람, 정부 주요 직책에 있었던 사람은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내년 1월 6일까지 친박(친박근혜) 핵심 인사들의 자진탈당을 촉구했다. 4·13총선 참패 책임자, 막말 인사도 ‘인적 청산’ 대상에 포함시켰다.
인 위원장은 실명을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서청원 최경환 이정현 윤상현 김진태 의원 등이 자진탈당 대상자로 거론된다. 친박 의원들은 “인 위원장이 대권 후보도 아니면서 새누리당을 자기 맘대로 이끌고 있다”면서 “당을 깨려고 하느냐”고 거세게 반발했다. 친박계의 인적 청산 거부로 인 위원장과 친박계의 정면충돌이 예상된다. 개혁보수신당의 분당으로 분열됐던 새누리당이 ‘내분 2라운드’에 휩싸일 전망이다.
인 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당을 이끌었던 사람 중에 계신 분도 있고 나간 분도 있지만 이 사람들이 인적 청산의 첫 번째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4·13총선에서 국민들이 눈살을 찌푸리게 패권적 행태를 보였던 사람들도 인적 청산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을 등에 업고 호가호위하며 무분별하고 상식에 어긋나는 언사로 못난 행태를 보였던 사람들도 인적 청산 대상”이라고 지목했다.
그는 “정치적 책임은 자진탈당”이라고 못 박았다. 또 “출당 요구, 탈당 징계만 있는 게 아니라 당원권 정지가 더 무섭다”고 말해 자진탈당을 거부할 경우 당 윤리위원회를 통해 당원권 정지 등 중징계를 내릴 방침임을 시사했다.
인 위원장은 이날이 12월 30일인 점을 감안해 “2년 드리겠다. 2017년 1월 6일까지 결단해주길 바란다”고 압박했다. 또 “인적 청산 없이는 비대위를 구성해봐야 소용없다”며 “1월 8일 다시 기자간담회를 열어 제 거취를 포함한 모든 결과를 말씀드리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인적 쇄신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자진사퇴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이다.
한 새누리당 의원은 “인 위원장이 자진탈당 대상자들을 직접 만나 설득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새누리 ‘인적청산’ 착수
입력 2016-12-30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