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계 블랙리스트 ‘몸통’ 추적… 모철민 주프랑스 대사 참고인 신분 소환

입력 2016-12-29 18:18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29일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을 지낸 모철민(사진) 주프랑스 대사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최초 지시한 윗선 규명을 위해 해당 리스트를 유통시킨 의혹을 받고 있는 당사자부터 역추적해 나가는 수순이다.

모 대사는 특검팀 조사를 위해 전날 일시 귀국했다. 건강상 이유로 약속된 오전이 아닌 오후에 모습을 나타낸 모 대사는 굳게 입을 다문 채 조사실로 향했다. 그는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근무 당시 청와대에서 만들어진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전달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특검팀은 블랙리스트 제작 유통 경로가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청와대 정무수석실→청와대 교육문화수석실→문체부 예술정책과’로 이어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지난 26일 김 전 실장 자택을 비롯해 정무수석을 지낸 조윤선 문체부 장관, 김상률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자택 등을 압수수색한 것도 이 때문이다.

특검팀은 블랙리스트 명단이 일부 담긴 문건을 확보해 살펴보고 있다. 문화계에선 1만명 가까운 인사의 이름이 블랙리스트에 올라있다는 얘기도 돌고 있다. 최순실씨 입맛에 따라 정리됐다는 의혹도 있다.

일단 특검팀은 블랙리스트 작성은 김 전 실장 지시에 따라 정무수석실이 주도한 것으로 파악하고 몸통 추적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 27일 정무비서관을 역임했던 정관주 전 문체부 1차관 소환 조사를 시작으로 28일 김 전 수석과 신동철 전 정무비서관을 불러 조사했다. 특검팀은 이날 모 대사에 대한 조사와 관련자들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한 뒤 이를 바탕으로 김 전 실장과 조 장관 등을 소환할 방침이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