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梨大 10여곳 압수수색… 정유라 특혜 의혹 본격 수사

입력 2016-12-29 17:34
최순실씨의 이복오빠 재석씨가 29일 재산 자료를 제출하기 위해 서울 강남구 특검 사무실로 검은색 선글라스를 쓴 채 서둘러 들어가고 있다. 구성찬 기자

공식 수사 개시 이후 몰아치듯 연쇄 압수수색을 진행해 온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29일 이화여대 관계자 사무실 및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하면서 최순실씨 딸 정유라씨를 둘러싼 각종 특혜 의혹 규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로써 특검팀은 박근혜 대통령 뇌물죄 수사를 비롯해 의료농단, 문화계 블랙리스트까지 총 4개의 수사를 동시에 진행하게 됐다.

특검팀 대변인 이규철 특검보는 이날 “정씨 입시 비리와 관련해 최경희 전 이대 총장 연구실과 김경숙 전 체육과학대 학장 주거지 등 10여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영장에 적시된 혐의는 업무방해 등으로 남궁곤 전 입학처장의 주거지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특검보는 “앞선 검찰의 압수수색 장소와 겹치지만 압수 대상은 중복되지 않는다”며 “주로 관련자 휴대전화를 압수했다”고 덧붙였다.

이미 교육부 특별감사를 통해 정씨에 대한 입학 및 학사 특혜가 드러난 상황에서 특검팀은 특혜 지시 라인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앞서 교육부는 남 전 입학처장이 면접위원에게 ‘수험생 중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가 있으니 뽑으라’고 강조했다는 사실 등 정씨가 각종 특혜를 받은 의혹 대부분을 사실로 확인했다.

일련의 과정을 김 전 학장이 주도하고 이를 최 전 총장이 승인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으나 이들은 지난 15일 열린 국조특위 제4차 청문회에서 전면 부인했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은 “부정입학한 정유라는 있는데 부정입학시킨 사람은 없다”며 위증을 지적하기도 했다.

특검팀은 결국 최 전 총장, 김 전 학장 등이 정씨 특혜 의혹을 풀 열쇠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정씨 특혜 입학에 모종의 역할을 했다고 의심받는 이대 여성최고지도자과정 알프스(ALPS)도 주목하고 있다. 알프스는 최씨와 친분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 우병우 전 청와대민정수석의 장모 김장자씨가 총동문회장을 지낸 곳으로 정씨 특혜 관련자들의 ‘비선 연결고리’로 의심받고 있다.

글=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사진=구성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