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 36명… 국회 개헌특위 속도 낸다

입력 2016-12-28 18:09
여야 4당의 원내수석부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상견례를 겸한 회동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새누리당 김선동, 개혁보수신당 정양석,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 김지훈 기자

여야 4당이 28일 국회 개헌특위 정수에 합의하면서 개헌 논의를 위한 기반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개헌특위 위원 수는 정당별로 더불어민주당 14명, 새누리당 12명, 국민의당 5명, 개혁보수신당(가칭) 4명, 비교섭단체 1명으로 정해졌다.

새누리당 김선동,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국민의당 김관영, 보수신당 정양석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만나 이같이 합의했다. 새누리당 분당(分黨) 이후 처음 열린 이번 회동은 정양석 원내수석에 대한 상견례와 분당 이후 국회 운영에 관한 협의를 겸해 열렸다.

개헌특위 위원장은 지난 12일 여야 3당 합의에 따라 새누리당 의원이 맡기로 했다. 개헌특위를 포함한 8개의 국회 특별위원회 위원장 자리도 정당별 의석수를 고려해 민주당과 새누리당에 각각 3명, 국민의당과 보수신당에 1명씩 배분키로 했다.

여야는 또 새누리당 정우택 원내대표를 국회 운영위원장으로 선출하기로 합의했다. 새누리당 분당으로 민주당이 원내 제1당이 됐지만, 집권여당 원내대표가 운영위원장을 맡기로 한 지난 6월 여야 3당 합의를 따르기로 한 것이다. 국회 운영을 담당하는 운영위원장을 원내 제1당 원내대표와 집권여당의 원내대표 중 누가 맡느냐의 문제는 정치권의 해묵은 논쟁거리였다. 박완주 민주당 원내수석은 “내일까지는 정진석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운영위원장”이라고 말했다.

여야는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특위의 활동기간 연장 문제에 대해서는 특위 내부 협의에 맡기기로 했다. 여야는 이런 합의사항을 29일 오후 3시에 본회의를 열어 확정하기로 했다.

글=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