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의 딸 화협옹주(1733∼1752) 무덤 자리에서 왕실 여인의 문화를 알 수 있는 명기류(무덤에 넣은 기물)가 발굴됐다.
문화재청은 경기도 남양주시와 (재)고려문화재연구원이 실시한 발굴조사에서 영조와 후궁 영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난 화협옹주의 이장되기 전 무덤이 남양주시 삼패동에서 확인돼 다량의 유물이 수습됐다고 28일 밝혔다.
화협옹주는 사도세자의 친누나이며 정조의 친고모로 11세에 옹주로 봉작됐다. 영의정 신만의 아들 신광수와 결혼했고 후사 없이 19세에 홍역으로 사망했다. 화협옹주 묘는 남양주시 평구마을의 남편 신광수 묘에 합장됐다.
특히 1장의 석판으로 이루어진 지석의 앞면과 뒷면, 옆면에는 총 394개의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오른쪽 옆면에 ‘어제화협옹주묘지(御製和協翁主墓誌)’라는 글이 있어 아버지인 영조가 직접 지은 글(어제)임을 알 수 있다. 또 젊은 나이에 먼저 간 자식에 대한 애틋한 슬픔이 절절히 표현돼 있다. 화장(化粧)도구로 추정되는 기물들은 왕실 여인의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손영옥 선임기자
화협옹주 묘 경기도 남양주서 찾았다
입력 2016-12-29 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