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우 총장 해임 문제로 파행을 겪던 총신대가 이를 넘어 초유의 ‘교육부 임시이사(관선이사) 파견 사태’까지 맞이할 위기에 봉착했다. 신임 재단이사회 구성을 놓고 교단과 학교 측이 한 치의 양보도 없이 극한대립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115년 역사를 가진 기독교 최고 명문사학이 이처럼 백척간두에 서게 된 것은 대학 재단을 구성하는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동 총회(총회장 김선규 목사)와 대학 측의 정치적 갈등에서 비롯됐다. 예장합동 총회가 총회 산하 교육기관인 총신대에 더 많은 재단이사를 파견하고 기존 이사들을 교체하려하자, 대학 측이 강력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양측의 갈등은 2년이 넘게 이어져 재단이사회가 공전만 거듭해왔다. 급기야 교육부는 세 차례나 계고장을 학교와 재단에 발송하고 해결을 촉구해왔다.
교육부는 최근 보낸 마지막 계고장을 통해 “12월 27일까지 이사회를 정상화해 결원 임원을 선임하지 않을 경우 관선이사 선임 절차를 밟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만약 해당 조치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앞으로 청문→심의→신임 관선이사 선임 등의 절차 등을 밟겠다고도 통보했다.
지난 22일 소집됐던 재단이사회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였음에도 정족수 미달로 개회조차 되지 못했다. 총신재단이사회 직무대행인 안명환 목사는 당시 이사회장을 떠나면서 “나는 다 내려놨는데 총회 측이 원만한 합의를 해주지 않는다”고 성토했다. 다른 이사들도 회의장에 남아 “총회와의 합의 실패가 근본원인”이라고 입을 모았다.
대학측이 총회와는 아예 담을 쌓은 채 현 재단이사회의 기득권만 유지하려 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올 만한 대목이다. 실제로 지난 5일 예장합동총회 임원회가 선임한 ‘총신대 정상화를 위한 협상단’은 단 한 번도 총신대 측과 공식적인 대화 테이블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2월에는 같은 날 다른 장소에서 각각 다른 운영이사회가 소집되면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총회는 총신대측 운영이사회 위원들에 대한 징계 절차를 밟았고 이 과정에서 안 목사는 총회에서 제명당하기도 했다.
총신대 상황이 알려지면서 예장합동 교단 내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관선이사 파견은 곧바로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 시 악영향을 미치고 수준 높은 예비 목회자 수급의 어려움만 가중시킬 것”이라는 게 교단 소속 목회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그러나 아직 정상화의 길은 남아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2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마감시한이 지나 행정적으로는 청문 절차가 진행되고 법률 전문가가 담당자로 선임될 것”이라며 “1월 말까지 재단이사회가 신임 이사를 선임해 보고한다면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예장합동총회 김선규 총회장은 “정상화에 대한 교단적 관심과 열망이 크다는 걸 잘 알고 있다. 조속한 시일 내에 지혜로운 방법으로 사태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재단이사회 소집권자이자 총신대 측 입장을 대변해온 안 목사는 아예 연락이 닿지 않았다.
글·사진=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
‘정상화’ 시한 넘긴 총신대… 관선이사 손에 넘어가나
입력 2016-12-27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