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절 주장 수정하라” 1590건으로 제일 많아

입력 2016-12-28 04:50

교육부는 지난달 28일부터 4주간 ‘올바른 역사 교과서’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받은 국정 역사 교과서 국민 의견 현황을 27일 공개했다.

접수된 총 1만58건 의견 가운데 일반 국민 의견이 9917건, 역사 교사 의견이 87건이었다. 교육부는 이 중 중복된 것을 추려 3807건을 검토 대상으로 국사편찬위에 전달했다. 교육부는 ‘과달카나 섬’을 ‘과달카날 섬’으로 잘못 표기하는 등 명백한 사실 오류 21건은 즉시 수정했다고 밝혔다.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관한 의견이 2467건으로 전체의 3분의 2를 넘었다. 시대별로는 현대사가, 유형별로는 내용에 관한 의견이 많았다. 특히 건국절 서술에 관한 의견이 1590건으로 주를 이뤘다. ‘대한민국 수립’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고쳐야 한다는 의견이 1157건이나 됐다. 194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건국강령을 발표한 사실을 네 차례나 서술하고 있으므로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도 281건 접수됐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1919년에 최초로 ‘대한민국’을 국호로 사용했다는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박정희정권 관련 내용도 다수 접수됐다. 새마을운동의 배경과 이중곡가제 실시 이유를 기술해 달라는 의견 119건, 박정희 미화 반대 54건, 5·16군사정변을 5·16군사쿠데타로 수정해 달라는 의견 17건이었다. 그 외에 반민족 친일행위(18건)와 제주 4·3사건(25건), 북한의 실상(13건) 등을 더 상세하게 서술해 달라는 의견이 접수됐다.

국사편찬위는 교육부의 검토 요청 3807건 중 808건에 대해 1월 중 집필진과 전문가의 면밀한 검토를 거쳐 반영 여부를 결정한다.

교육부는 또 “국정화 자체에 대한 찬성 의견이 79.9%인 911건, 반대 의견은 20.1%인 229건으로 집계됐다”며 여론과 온도차를 보인 접수 결과를 발표했다.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 박성민 부단장은 “찬성 의견이 많을 줄 몰랐다. 막판에 찬성 의견이 많이 올라온 것 같다”고 설명했다. 국정화 찬성 의견 911건 가운데 723건은 의견 접수 마감일인 23일에 몰렸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