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보수신당(가칭)은 야당의 개혁 입법 취지에 대체로 공감하고 있다. 아직 정강·정책을 확정하기 전이라 개별 법안에 대한 입장 표명은 자제하고 있지만 신당 참여 인사들의 면면을 볼 때 경제·복지 정책 등에선 야권과 공조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신당 내부에서도 정책 방향을 놓고 견해차가 있어 조율 과정에서 갈등이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
신당의 주요 축인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는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에 긍정적이다. 유 의원은 대학 강연 등을 통해 “공수처 신설을 안 받을 이유가 하나도 없다”고 했고, 남 지사는 관련 법안을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하자고 제안했다. 반면 김무성 전 대표는 부정적이다. 그는 정세균 국회의장이 지난 9월 정기국회 개회사에서 공수처 설치 필요성을 언급하자 “더 들을 것도 없다”며 본회의장을 박차고 나간 바 있다.
남 지사와 김세연 의원 등 새누리당 경제민주화 실천모임에서 활동했던 인사들은 재벌 지배구조 개혁에도 적극적이다. 보수신당이 만들어지면 국회 상임위원회 의석 분포도 달라진다. 검찰 개혁을 다룰 법사위나 재벌 문제를 논의할 정무위는 새누리당을 뺀 의석수가 신속처리안건 지정 요건인 5분의 3 이상이 된다. 문제는 신당 참여 의원마다 보수와 개혁 중 어디에 중점을 둘지 의견이 갈린다는 점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개혁보수신당 ‘野와 공조’ 유력
입력 2016-12-27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