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쓰레기 대란 4주째

입력 2016-12-26 17:48
전주시민들이 생활쓰레기 대란을 겪고 있다. 제때 수거되지 않은 쓰레기가 시내 곳곳에 쌓여 악취를 풍기고 미관을 해치고 있다.

쓰레기 처리시설이 있는 마을들에 대한 지원방식을 놓고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간 갈등이 커져 생활쓰레기가 방치되는 상황이 4주째 계속되고 있다.

26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5일부터 상림동 전주권 소각자원센터(소각장)의 쓰레기 하루 처리량이 100t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는 전주시내 하루 쓰레기 발생량 170t의 60% 선이다.

주민감시원들이 반입 쓰레기의 성상검사를 강화하면서 청소 차량의 대기 시간이 평소보다 3배 이상 길어지면서 생긴 일이다. 주민지원협의체는 전주시와 시의회가 그동안 현금으로 지원했던 폐기물시설 관련 직접보상액을 마을공동사업 등으로만 지원하는 방안으로 바꾸자 이에 반발하며 쓰레기 분리 상태 등을 철저히 검사해 반입을 지연시키고 있다. 준법 투쟁을 벌이고 있는 셈이다.

전주시는 2004년 쓰레기처리장 일대 주민 보상 협약을 체결하고 13년간 모두 192억원을 지원해 왔다. 하지만 현금 지원이 전국 20개 대상 지자체 중 2곳에 불과한 데다 주민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지원방식을 바꿨다. 시의회는 지난 9일 관련 조례안을 개정했다.

하지만 이에 반발한 소각장 지역 주민들의 반입 지연작전으로 인해 전주시내 곳곳에 생활 쓰레기가 넘쳐 나고 있다. 주민협의회측은 “전주시가 협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했다”며 “이달 말까지 해결책을 내놓지 않으면 법적 대응도 불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22일 전주 쓰레기 대란을 해결하기 위한 민간주도 사회적 협의기구 구성을 제안하고 나섰지만 뾰족한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주민협의체와 협의해 조속히 대안을 마련하겠다”며 “일단 다음 주 부터는 민간 청소업체에 맡겨 일부 처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