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23일 인명진 목사를 구원투수로 등판시키며 당 혁신 작업 시동을 걸었다. 인 목사는 비대위원장으로 확정되면 분당 물꼬를 틀어막고, 당에서 친박(친박근혜) 색채를 털어내는 숙제를 시작해야 한다.
인 목사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박근혜정부의 국정 실패 책임은 새누리당 전체가 져야 한다”며 “자신이 어떤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지 스스로 판단해 지혜롭게 처신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친박 인적 청산에 대해서는 “당 생활을 오래하셨던 분들이니 스스로 얼마나 책임져야 옳은 것인지 알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 핵심을 겨냥한 발언으로, ‘2선 후퇴’를 넘어선 정치적 결단을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권 내부에서도 인 목사가 새누리당에서 친박 이미지를 지우지 못할 경우 어떤 쇄신을 해도 무너져 내린 당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당장 첫 고비는 비대위원 구성과 주요 당직 인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탄핵 위기에 몰린 박근혜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 문제도 있다. 이 과정에서 친박계 저항에 직면할 경우 ‘인명진호(號)’는 출발부터 암초에 부딪히게 된다.
정통보수의 가치를 재정립하는 것도 임무다. ‘개혁보수신당’과의 혁신 경쟁에서 밀릴 경우 2, 3차 추가 탈당이 이어질 수 있다. 대권 후보 부재의 한계도 극복해야 한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등 유력 대권 후보가 새누리당과 선을 긋는다면 충청권 의원들의 집단 이탈도 현실화된다. 이 경우 새누리당은 극소수 강성 친박계만 남는 ‘대구·경북(TK) 자민련’으로 전락하고, 정치적 고립을 넘어 존폐 위기까지 내몰리게 된다.
글=전웅빈 기자,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인명진號 과제는… 친박당 이미지부터 완전히 털어내야
입력 2016-12-23 2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