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계란 대란’을 진정시키기 위해 계란 가공 수입품에 관세를 깎아주고, 계란 수입 시 항공운임비의 50%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계란수급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내년 1∼6월 수입되는 계란가공제품 8종의 관세(8∼30%)에 할당관세를 적용키로 했다. 할당관세는 일정 기간 수입품에 대해 관세율을 일시적으로 낮추는 제도다. 특히 신선란의 경우 27% 관세율을 0%로 대폭 낮추기로 했다. 제과·제빵업체의 원료 가격을 안정시켜 빵 등 관련 제품의 가격 인상을 막기 위한 조치다. 또 계란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갈 경우 신선란 수입에 소요되는 운임비의 50%를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계란 사재기 논란과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등과 합동으로 계란 유통업체의 재고물량을 점검할 방침이다.
국내 수급대책과 관련, 정부는 산란계의 생산주령을 기존 68주에서 100주로 최대한 연장해 가용 가능한 산란계를 극대화할 계획도 마련했다. 또 AI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의 병아리를 우선 사육한 뒤 이동제한이 해제된 발생지역의 농가에 공급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살처분 속도와 계란 수급현황을 주 단위로 검토해 필요시 원활한 계란수급을 위한 추가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계란 수급이 불안정해지자 제빵업계엔 비상이 걸렸다. 국내 최대 제빵 프랜차이즈인 SPC그룹 파리바게뜨는 일부 제품 생산을 22일부터 중단키로 했다. 카스텔라와 머핀 등 계란 사용량이 많은 19개 품목이 대상이다. 당초 SPC그룹은 연내 소진 물량까지 계란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공급을 중단하는 농가가 늘어나면서 제품 생산에도 차질을 빚게 된 것으로 보인다. SPC 관계자는 “전 가맹점을 포함해 하루 소비해야 하는 계란이 80만t(30개입 계란 6만판가량) 정도인데 공급을 중단하는 농가가 늘어나면서 일부 제품의 생산을 일시 중단키로 했다”며 “수급이 안정화되면 생산을 재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김유나 기자
zhibago@kmib.co.kr
계란이 부족해… 파리바게뜨, 카스텔라 생산 중단
입력 2016-12-23 17:41 수정 2016-12-23 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