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알자회’ 배후로 軍 인사 농단”

입력 2016-12-23 00:01 수정 2024-07-04 12:30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22일 오전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특위 5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하기 위해 국회 본청으로 들어서고 있다. 진선미 이재정 백혜련(왼쪽부터) 등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우병우 구속 수사하라’는 팻말을 들고 우 전 수석을 맞고 있다. 서영희 기자

우병우 전 민정수석은 22일 최순실 국정조사특위 5차 청문회에서 모든 의혹을 부인했다. 법률 전문가인 우 전 수석이 역시 법률 전문가인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똑같은 ‘모르쇠 전술’을 구사했다는 평가다.

특위 위원들은 집중 포화를 퍼부었다.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우 전 수석이 군 장성 승진인사에 개입해 육군 내 사조직을 지원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우 전 수석이 조현천 기무사령관 등을 통해 장성 진급 관련 ‘오더’를 내렸다”며 “청와대와 국정원, 국방부 전·현직 라인을 통해 검증된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우 전 수석이 국내 정보수집을 총괄하는 국정원 추모 국장과 조 기무사령관 등을 통해 군내 정보를 장악해 군 인사에 개입했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이런 인사 특혜가 육군사관학교 34∼43기로 구성된 사조직 ‘알자회’ 회원들에게 집중됐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장제원 의원은 국정원 내에서 ‘최순실 국정농단’ 정보를 통제한 추 국장과 그의 최측근 4인방(국민일보 11월 25일자 1면 참조)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추 국장은 이들을 ‘수족’처럼 부리며 우 전 수석과 안봉근 전 청와대 비서관에게 최씨 관련 정보를 비선보고한 의혹을 받고 있다. 장 의원이 4인방인 우모 단장과 김모 처장을 비롯해 도모 삼성 출입 조정관(IO)을 거론하며 “이들을 아느냐”고 물었으나 우 전 수석은 “도 조정관은 청와대에서 함께 근무했지만 나머지 두 사람은 모른다”고 말했다.

노승일 전 K스포츠재단 부장은 최씨가 갖고 있던 대통령 연설문과 정부 문건을 각각 한 건씩 복사해 검찰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연설문은 최씨의 노트북에서, 정부 문건은 최씨가 노 전 부장의 컴퓨터에 저장한 파일을 복사했다고 설명했다. 노 전 부장은 ‘소유자의 동의 없는 파일 복사가 범죄’라는 새누리당 백승주 의원의 질의에 “알고 있다. 처벌받겠다”고 밝혔다. 그는 “세상에 밝혀 깨끗한 나라를 만들고 싶었다”며 “부정부패를 알리는 것은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의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우 전 수석이 청와대 민정비서관 시절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비리를 보고받고도 눈감아줬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 전 차관이 2014년 5월 문체부 산하 체육인재육성재단에 압력을 행사해 지인이 다니던 미국 조지아대를 해외 연수기관으로 지정토록 했다는 내용이다. 장 의원은 “우 전 수석이 김 전 차관 비리를 보고받고도 홍경식 전 청와대 민정수석을 거치지 않고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직보해 무마했다”고 몰아세웠다.

우 전 수석이 청와대 민정비서관에 오른 뒤 자신이 변호했던 현대그룹 관련 사건을 축소 처리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정의당 윤소하 의원은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비자금 관리 의혹이 제기된 ISMG코리아 대표 A씨는 100억원 넘는 횡령 건으로 기소됐는데도 집행유예 선고를 받았다”며 “우 전 수석이 민정비서관으로 간 직후였고, 검찰도 이후 항소를 포기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 전 수석은 “법원이 적법하게 판단했을 것으로 본다”며 피해갔다.

우 전 수석은 청와대 근무 때 작성했던 업무일지는 민정수석에서 물러난 후 모두 파쇄했다고 밝혔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사진=서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