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탄핵과 경기침체, 한파 등으로 서민생활이 위기로 내몰리는 상황에서 서울시와 시의회, 자치구가 손잡고 공공일자리 확대, 영세 자영업자 자금 지원 등 민생안정 대책을 집중 추진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2일 양준욱 서울시의회 의장, 문석진 서울시구청장협의회장(서대문구청장) 등과 함께 ‘민생·안전 10대 대책’을 발표하고 이를 위해 내년 2월까지 총 1941억원을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10대 대책’의 핵심은 공공일자리 확대다. 시는 공공근로, 청년실업자를 위한 뉴딜일자리, 대학생 아르바이트 등 공공일자리 1만2000개를 내년 1∼2월 제공한다. 올해 같은 기간 시가 제공한 공공일자리보다 5500개 이상 늘어난 수치다. 참여인원도 올해보다 2650명 늘어난 1만명 수준으로 확대했다.
영세 자영업자들의 자금난을 풀어주기 위해서는 올해의 배 규모인 총 600억원의 긴급자금을 저리로 대출한다. 소상공인은 1년 거치 4년 균등상환, 금리 2.0% 조건으로 업체당 5000만원 이내 융자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 학자금 대출 등으로 신용불량자가 된 청년들의 신용 회복을 돕기 위해서 1000명에 한해 이자 지원 등을 실시한다.
전통시장 지원 대책도 포함됐다. 내년 2월 6∼10일 5일간 서울시내 전통시장에서 일제히 대규모 할인행사를 벌인다.
시는 또 동주민센터와 협력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1만 가구를 발굴, 80억원을 지원한다. 에너지빈곤층 4만 가구엔 단열시트와 난방텐트, 내의 등 난방용품을 지급한다.
이와 함께 경제적 취약계층을 노리는 불법대부업, 다단계판매, 저질 건강식품 등을 대상으로 집중 단속하고 화재 예방을 위해 시내 352개 전통시장 6만1120개 점포에 내년 1월까지 소화기 설치를 완료한다.
박 시장은 “대한민국의 국가시스템은 위기라고 할 만큼 불안정하지만 민생과 안전은 어떤 순간에도 흔들려선 안 된다”며 “서울시와 시의회, 25개 자치구 협치를 통해 장기화된 경기침체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길고 추울 것으로 예상되는 올겨울 민생과 안전을 위한 10대 대책을 집중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시와 자치구는 내년 예산 조기 집행에도 합의했다. 내년 3월까지 일자리, 복지, 안전, SOC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시 6조3000억원, 자치구 9000억원 등 총 7조2000억원의 예산을 앞당겨 투입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서울시, 1941억 긴급 투입 민생 챙긴다
입력 2016-12-22 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