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 미군기지 일부 20년 만에 日 반환

입력 2016-12-22 18:22
일본 오키나와현의 미군기지 일부가 22일 일본에 반환됐다.

북부훈련장의 4000㏊ 규모로 오키나와 전체 미군기지의 17%에 해당한다. 1972년 오키나와가 일본 영토로 복귀된 이후 최대 규모의 반환이다. 그러나 미군 주둔에 대한 오키나와 주민들의 반감과 불만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미국 CNN방송이 전했다.

이번 반환은 양국이 원칙적으로 합의한 96년 이후 20년 만에 이뤄졌다. 반환 대가로 일본 정부가 미군에 헬기 이착륙장(헬리패드) 여러 개를 지어주는 것을 놓고 주민 반대가 많아 반환이 지연됐다.

일본 내 미군기지는 오키나와에 집중돼 있다. 이번 반환으로 주일미군 전체 기지 가운데 오키나와가 차지하는 비중이 74%에서 71%로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오키나와 주민들은 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미군기지가 자신들의 방위를 위한 시설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불만이 많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기무라 마키 교수는 “기지 반환 대가로 지어준 헬리패드가 주택가와 너무 가까운 데다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까지 드나드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미군 수송기로 쓰이는 오스프리는 소음공해가 극심하고 사고가 잦아 골칫거리다. 지난 13일에도 불시착 사고가 발생했는데 미군의 요청으로 엿새 만에 비행이 재개돼 주민들 사이에서 “오키나와가 미국의 식민지냐”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오나가 다케시 오키나와현 지사도 이날 미군기지 반환기념식 대신 오스프리 사고 항의집회에 참석했다. 오나가 지사는 각종 사고와 범죄를 이유로 미군기지 존속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