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사진) 대통령 권한대행이 정치권과의 접촉면을 늘리고 있다. 21일 새누리당에 이어 22일 국민의당과 잇따라 회동하며 ‘협치(協治) 본격화’를 표방했다. 야권에선 야3당 공조 무력화를 위한 정치행보라는 비판이 나온다.
황 권한대행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국민의당 김동철 비상대책위원장과 1시간 정도 만났다. 권한대행이 된 후 야당과의 첫 만남이다. 황 권한대행은 “정부 입장에서 국회와 소통하고 특히 야당과 긴밀하게 협의하는 새로운 모습을 같이 갖춰 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박근혜표 정책을 고집하지만 않는다면 황 권한대행 체제에 적극 힘을 보탤 것”이라고 답했다. 국민의당은 교섭단체가 모두 참여하는 여야정 경제협의체를 제안했고, 황 권한대행도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황 권한대행이 임시국회 대정부 질문을 기점으로 정치권과의 만남을 확대하는 것은 주요 정책 처리에 야권의 협조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당장 23일까지 여론을 수렴해 연내 국정화 여부를 결정하는 역사 교과서 문제가 첫 고비다. 이날 만남에서도 김 비대위원장은 역사 교과서 국정화 중단을 요청했다. 황 권한대행은 의견 수렴 후 논의 과정에서 고려해보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밝혔다. 사드(THAAD) 유예 요구에 대해선 “바꾸기 쉽지 않다”고 답했다.
야권이 국회 주도권을 쥔 상황에서 정부가 정책을 일방적으로 처리하기는 어렵다. 불통 이미지가 쌓일 경우 ‘박근혜 대통령 시즌 2’라는 비판 여론이 고조돼 국정 관리 동력도 떨어진다. 권한대행 초반 외교·안보 분야 안정화에 이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국정 관리라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선 야권의 협조가 뒷받침돼야 하는 것이다.
여전히 갈 길은 멀다. 제1야당인 민주당을 배제한 상황에서 정치권과의 협치는 한계가 있다. 야권 공조를 무너뜨리기 위한 전략이라는 비판을 넘기 위해선 야권 전체와의 소통 방식도 고민해야 한다. 정의당 한창민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야3당을 갈라치기하며 야3당의 공조를 무력화하려는 황 권한대행의 정치행보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비판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黃 대행, 갈길 먼 ‘협치’
입력 2016-12-22 18:03 수정 2016-12-22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