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흔적’ 지우는 문체부… 인적쇄신 속도

입력 2016-12-23 00:03
최순실 게이트로 직격탄을 맞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인적 쇄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고위 간부들이 잇따라 사표를 낸 데다 조직 내부의 분위기 전환을 위해 대규모 물갈이 인사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22일 문체부에 따르면 정관주(52) 제1차관이 최근 사의를 표명했다. 사표는 아직 수리되지 않았다. 지난달 말에는 원용기(54) 종무실장과 윤태용(57) 문화콘텐츠산업실장이 사표를 제출했다.

정 차관은 2014년 청와대 정무수석실 국민소통비서관 재직 당시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 작성과 전달을 주도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또 최근 특검에서 확보한 비선실세 최순실씨 의 수첩에 정 차관의 이름이 적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원 실장은 2014년 10월부터 지난 4월까지 문화예술정책실장을 맡는 동안 최씨가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는 국가 브랜드 등을 이끌었다. 또 2014년 10월 기획재정부에서 문체부로 온 윤 실장은 차은택씨가 농단한 것으로 드러난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을 맡아왔다.

지난 10월 말 김종(55) 제2차관과 송성각(58) 한국콘텐츠진흥원장이 물러나면서 문체부 안에서 이른바 ‘최순실-차은택 라인’ 핵심인물들은 정리가 됐다. 문체부는 융합벨트 사업을 주도한 문화창조융합본부를 내년 3월까지 단계적으로 축소한 뒤 폐지하기로 결정하는 등 새 출발을 다짐하고 있는 상황이다.

조윤선 장관은 지난주까지 국장급 이상 고위 간부들을 대상으로 향후 주요 사업의 추진 방향과 조직 정비 방안에 대한 의견 수렴을 마쳤다. 이번 인사는 김종덕 전 장관 취임 직후인 2014년 10월 실장급(1급) 6명에 대해 강제로 사표를 받으면서 단행한 인사 이후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1급 일반직 공무원이 맡는 7개 직책 가운데 4개가 비어 있다. 문체부는 연말까지 실·국장급 인사를 낸 뒤 내년 초 과장급 승진 및 전보 인사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조 장관이 블랙리스트 작성 주도 의혹으로 특검에 고발되는가 하면 문체부 일부 관료들이 최순실 게이트로부터 자유롭지 않거나 김종 라인으로 분류되는 상황에서 인적 쇄신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문체부 관계자는 “인사라는 게 변수가 많지만 조직의 분위기 쇄신을 위해서라도 빠르게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며 “최순실 게이트 등 외부 문제에서 자유로운 사람들이 중용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