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빅데이터 기반 감염병 발병 조기 파악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1일 밝혔다.
감염병 감시체계는 병·의원의 신고를 기반으로 이뤄진다. 의료기관이 감염병 환자를 진단하면 감염병 종류에 따라 지체 없이 또는 주간 단위로 질병관리본부와 관할 보건소에 신고한다.
인플루엔자와 같이 주간 단위 신고 대상일 경우 보건당국 신고까지 최대 1주일이 걸릴 수 있다. 새롭게 구축된 빅데이터 시스템은 의약품안전사용정보시스템의 실시간 처방 내역 빅데이터를 분석해 감염병 발생 추이를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시스템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51억여건의 의약품 처방·조제내역을 축적했다. 지난해 데이터는 매일 460만여건씩 처방·조제 내역을 처리했다.
미래부와 심평원은 올해 법정 감염병 중 건강보험 청구 건수가 가장 많은 인플루엔자의 조기 파악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다. 내년에는 수족구병과 결핵 등으로 확대할 전망이다.
손명세 심평원장은 “지난해 메르스 사태로 국가 재난 상황에서 초동대응의 중요성을 알았다”며 “실시간 빅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조기감지, 신속한 초기대응 지원 등 국민안전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빅데이터로 감염병 발병 알아낸다
입력 2016-12-21 1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