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이 이르면 이번 주 중 탈당을 결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의 분열은 조기 대선 정국의 변수로 부상할 전망이다. 보수 성향의 집권당이 분열하는 것은 한국 헌정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김무성 전 대표와 심재철 국회부의장, 주호영 권성동 김성태 김세연 의원 등 비주류 의원 15명은 20일 서울 여의도 한 중식당에서 오찬회동을 갖고 탈당을 추진키로 합의했다.
대변인 격인 황영철 의원은 “이제는 결단할 때가 됐다”면서 “(비주류 의원들이) 탈당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행에 적극적으로 돌입하자고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또 “유승민 비대위원장 제안도 거부된 것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면서 “더 이상 친박(친박근혜)의 불분명한 입장과 시간끌기로 혼란이 계속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탈당 작업을 구체화하기 위한 긴급 비주류 의원 모임을 21일 국회에서 갖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탈당 규모와 일정 등에 대한 윤곽이 드러나는 셈이다.
황 의원은 탈당 규모와 관련해 “20명 이상은 분명히 될 것이고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견임을 전제로 “이번 주 안으로 (탈당이)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주류 중심축인 김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은 이날 오후 따로 만나 향후 정치행보에 뜻을 같이하기로 합의했다. 동반 탈당이라는 큰 틀에 합의한 것이다.
탈당의 키를 쥐고 있는 유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탈당을 결심했다고 하더라도 결행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민을 같이하는 의원들과 상의할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정우택 원내대표가 어떻게 비대위를 꾸릴 것인지를 지켜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유 의원이 비주류 의원들과 함께 새누리당을 떠난다면 탈당 규모가 30명을 넘길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비주류 의원들 역시 지역구 당원 등을 상대로 설명회와 여론 수렴 작업 등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어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정했다고 한다. 탈당 시점은 ‘유승민 비대위원장 카드’에 대한 친박계의 거부 입장이 공식 확인되는 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 원내대표는 그러나 비주류의 분당 움직임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친박 좌장인 서청원 의원도 “나갈 사람은 나가고 남을 사람은 남으면 된다”고 탈당 움직임을 평가절하했다. 또 “친박(친박근혜) 했던 사람들을 ‘최순실의 남자’인 것처럼 매도하면서 자신들은 투사·영웅인 양 행동하는 사람들과 당에 공존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관련기사 3면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난파선 새누리… “주내 20명 이상 나간다”
입력 2016-12-20 18:18 수정 2016-12-21 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