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꺼번에? 시간차?… 탈당 시점·규모만 남았다

입력 2016-12-21 04:00
새누리당 친박계 핵심인 최경환 의원(둘째줄 왼쪽)이 20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앉아 있다(왼쪽 사진). 비슷한 시각 비주류 좌장 격인 김무성 전 대표(가운데)는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열린 비주류 의원들과의 오찬 자리에 참석해 탈당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논의만 무성하던 새누리당 비주류의 탈당이 초읽기에 돌입했다. 비주류는 교섭단체 구성 요건인 20명 이상 탈당 의원을 확보했다고 자신하고 있다. 관건은 한 번에 최대 규모의 탈당을 감행할 수 있느냐다. 탈당 규모와 시점은 유승민 의원의 선택에 달려 있다. 비주류 좌장 격인 김무성 전 대표 등 ‘신속 탈당파’와 유 의원을 필두로 한 ‘신중 탈당파’ 간 의견 조율도 중대 변수다.

탈당 논의는 탄핵을 주도했던 비상시국위원회 멤버들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김 전 대표와 심재철 강석호 주호영 이종구 김성태 의원 등 15명은 20일 오찬 회동을 갖고 분당 시점을 논의했다. 모임에 참석하지 않은 유 의원과 유 의원 측 인사들을 모두 더하면 탈당파는 20여명이라는 계산이 가능하다. 비주류는 비상시국위 참여 의원들의 전원 합류를 전제로 30여명 탈당까지 기대했다. 비주류 측은 “탈당 규모는 20명을 훌쩍 넘길 것”이라고 단언했다.

‘20명 이상 탈당’은 유 의원의 탈당을 전제로 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유 의원의 탈당 시점은 유동적이다. 유 의원은 당대표 권한대행인 정우택 원내대표의 공식 입장 발표 후 자신의 행보를 밝히겠다고만 한 상태다.

유력한 시나리오는 비주류가 크리스마스 전후로 한꺼번에 탈당하는 것이다. 정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 인선 시점을 “길어도 2∼3일 내”라고 밝혔기 때문에 이런 관측이 제기된다. 김 전 대표와 유 의원은 이날 오후 만나 동반 탈당 시점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주류 한 중진 의원은 “정 원내대표는 분당을 바라지 않는다고는 했지만 여러 말을 종합하면 사실상 ‘유승민 불가론’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가 유승민 불가 입장을 공식 발표하는 시점이 바로 비주류 탈당의 신호탄이라는 얘기다.

비주류의 시간차 탈당 가능성도 있다. 김 전 대표를 비롯한 탈당을 서두르는 의원들이 먼저 나간 뒤 탈당 행렬을 이어간다는 시나리오다. 강경 탈당파뿐 아니라 탈당 명분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탈당 이후 유력 대권 후보를 끌어와야 하는 과제도 풀어야 한다. 영남권 일부 의원은 지역 여론을 의식해 탈당을 주저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신년벽두 탈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수도권 한 의원은 “세 싸움에 밀려서 나가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 친박 의원은 “비주류 구심점도 애매해 10여명 탈당에 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주류 의원들은 21일 김 전 대표와 유 의원이 모두 참석하는 모임에서 탈당 시점을 논의할 예정이다.

친박과 비주류 간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김진태 의원은 의원총회에서 “당 소속 대통령을 앞장서서 탄핵시켜놓고 무슨 낯으로 당권까지 잡겠다고 하느냐”고 유 의원을 공격했다. 반면 권성동 의원은 “주류가 당 운영을 제대로 못해 국민적 질책이 쏟아졌기 때문에 비주류에 당권을 넘기는 게 당 통합을 이끄는 지름길”이라고 반박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