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새누리 친박 의원 위증교사 의혹 일파만파

입력 2016-12-20 04:30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특위 위원인 이완영 새누리당 의원이 19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추가 질문을 받고 있다(왼쪽 사진). 이만희 새누리당 의원이 국조특위 위원들과 대화를 나눈 뒤 국회 새누리당 원내대표실을 나서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뉴시스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특위 새누리당 의원들에 대한 ‘위증 교사’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이완영 의원과 이만희 최교일 의원이 4차 청문회(15일)를 앞두고 최순실씨 최측근과 회동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을 키웠다. 새누리당 비주류와 야당 의원들은 ‘증언 사전모의’ 의혹을 강력 제기했고, 친박계는 ‘국조위원의 정당한 활동 범위’라고 맞섰다.

더불어민주당 핵심 관계자에 따르면 정동춘 전 K스포츠재단 이사장은 최근 야당 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새누리당 이완영 간사가 (1차 청문회 개최 전인) 지난 4일 박헌영 전 K스포츠재단 과장을 만나게 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정 전 이사장에게 (박 전 과장의 말을) 전해 들었기 때문에 내가 직접 확인하고 싶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K스포츠재단 관계자의 4차 청문회 증인 채택 이틀 뒤인 지난 9일 이만희 의원, 최교일 의원과 함께 정 전 이사장과 회동했다. 최 의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이완영 의원이 정 전 이사장 얘기를 듣고 의견을 묻기에 나는 ‘신빙성도 없고, 도움도 안 되는 내용’이라고 단호히 얘기했다”며 선을 그었다. 그러나 야권은 새누리당 친박계 의원들이 최씨 최측근 인사와 회동한 사실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박 전 과장이 4차 청문회에서 고영태씨가 예고한 대로 답변해 의혹은 더 커졌다.

박 전 과장이 4차 청문회에 출석한 이유도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조특위 야당 위원들의 말을 종합하면 박 전 과장은 새누리당 요구에 따라 증인으로 채택됐다. 국조특위 여야 간사는 지난 7일 열린 2차 청문회 도중 4차 청문회 증인 채택에 합의했다. 국조특위 야당 관계자는 “박 전 과장은 새누리당이 요청한 증인”이라고 전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이완영 의원은 국회 기자회견을 자청해 “박 전 과장에게 위증을 부탁하거나 지시한 적이 없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그는 또 정 전 이사장과는 지난 4일 처음 만났고, 이 자리에서 ‘박 전 과장이 고영태씨의 태블릿PC를 봤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본 의원이 위증하라고 (지시)했다면 박헌영 증인에게 왜 똑같은 내용의 질문을 하지 않았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의원은 또 민주당 의원과 고씨의 회동 사실을 폭로하며 맞불을 놓았다. 민주당 P의원이 12월 초와 지난 12일 2차례 서울 여의도 식당에서 고씨와 장시간 만났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국조특위 위원들이 청문회 전에 증인을 만나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것은 일반적인 국조 활동”이라며 “특정세력이 여당 죽이기에 나선 것은 아닌지 심히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P의원으로 지목된 민주당 박영선 의원 측은 “고씨를 만난 것은 2차 청문회 이후로 위증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며 “노승일 전 K스포츠재단 부장을 만날 때 고씨가 따라 나와 만났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특위 위원장인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은 진위 파악을 위해 긴급 전체회의를 소집했지만 민주당과 정의당이 불참해 무산됐다. 야당 의원들은 “22일 이후 별도 청문회를 개최해 미합의 증인과 함께 진상규명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위는 위증 모의 의혹과 관련해 정 전 이사장과 노 전 부장, 더블루K 직원 유모씨 등을 22일 청문회 참고인으로 부르기로 했다. 앞서 고씨와 박 전 과장도 각각 증인과 참고인으로 채택됐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