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미군기지 주변 지하수에서 허용기준치의 500배가 넘는 벤젠과 석유계총탄화수소 등 환경오염물질이 검출됐다. 기지 내 유류 유출에 의한 지하수 오염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내년 말 기지 반환과 국가공원화 사업을 앞두고 유류 오염 차단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기지 내 오염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가 19일 발표한 용산 미군기지 주변 지하수 오염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녹사평역 주변에서는 최고농도 8.811㎎/ℓ에 달하는 벤젠이 검출됐다. 벤젠의 오염지하수 정화기준(0.015㎎/ℓ)보다 587배 높은 수치다.
또 용산기지 서쪽 캠프킴 주변에서 검출된 석유계총탄화수소의 최고농도는 768.7㎎/ℓ으로 정화기준(1.5㎎/ℓ)보다 512배 높았다.
서울시는 녹사평역은 2001년 이후 16년간, 캠프킴은 2006년 이후 10년간 정화작업을 지속해 왔다. 그로 인해 주변 오염도는 2004년 최고농도 대비 70% 감소했고 캠프킴은 92%까지 줄었으나 여전히 지하수법에서 정한 허용기준을 초과하고 있다.
시는 “미군기지 내부 오염원을 근본적으로 정화하지 않는 이상 오염 지하수는 계속 주변으로 흘러나오고 기지 내부도 오염 범위가 확산될 것이 자명하다”며 “용산 미군기지 반환이 내년 말인 것을 고려할 때 오염원에 대한 치유 계획 및 부지관리 방안이 수립돼야 하지만 현재 오염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2003년부터 한미공동실무협의체에 6차례 참여해 기지 내부조사를 강력히 건의한 결과 2015년 5월부터 올해 8월까지 모두 3차례 내부 오염조사를 완료했다.
그러나 3개월이 지나도록 조사 결과를 통보받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가 “분석이 안 끝났다”며 결과 공개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공개는 미군 측 동의도 얻어야 한다.
권기욱 물순환안전국장은 “시민이 원하는 국가공원으로 재탄생시키기 위해 국토부, 환경부, 서울시가 상호 협조해 기지 정화계획과 후속조치를 공동 수립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용산미군기지 지하수 벤젠 허용기준치 500배 초과
입력 2016-12-20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