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결국 국회 본회의장 연단에 서기로 했다. 20∼21일로 예정된 임시국회 대정부 질문 출석 요구에 “전례가 없다”며 막판까지 버텼으나 불출석 시 파장을 우려해 이같이 결정했다. 단 출석 방식에 대해선 “국회에서 논의해 달라”며 단서를 달았다.
황 권한대행은 19일 자료를 통해 “이번 임시국회 본회의에 출석해 국회와 국민들에게 국정 관리 방향을 말씀드리고, 의원들께서 궁금해하는 사안에 대해 성실하게 설명 드리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간 전례가 없고, 위기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하기 힘들다며 난색을 표했던 것에서 물러선 것이다.
출석 예정 전날인 이날 오전까지 “고심 중”이라던 황 권한대행이 입장을 바꾼 것은 야권 및 여론의 압력이 갈수록 거세진 것과 무관치 않다. 야권은 임시국회 개원에 합의한 지난 12일 이후 이날까지 줄기차게 황 권한대행의 출석을 요구해 왔다. 출석 압박 강도도 갈수록 높아졌다. 지난주말 ‘촛불민심’ 역시 황 권한대행을 직접 겨누기 시작했다. 불출석 시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 대의기관인 국회의 요구를 무시하는 모양새가 되는 것도 부담이었다. 황 권한대행은 “국회 출석 문제로 마치 입법부와 갈등을 초래한 것처럼 비치는 것은 이 시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조속한 국정 안정을 바라는 국민 여망과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
다만 황 권한대행은 구체적인 출석 방식 등에 대해선 국회에서 논의해달라고 주문했다. 국민의당이 이날 경제 분야는 유일호 경제부총리가 답변하고, 비경제 분야만 황 권한대행이 답변하도록 절충안을 제시한 것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야권은 일단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권한대행으로서의 마땅한 의무이자 국민에 대한 도리”라며 “환영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국민의당 이용호 원내대변인은 “본회의 출석을 결정해 다행”이라면서도 “빈손으로 오지 말고 촛불민심에 부합하는 국정운영 방안을 들고 올 것을 충고한다”고 말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여론 압박에… 황교안 “대정부질문 출석”
입력 2016-12-19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