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남중국해에서 나포한 미군의 수중 드론을 반환하기로 했지만 쉽게 돌려주지는 않을 전망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19일 중국은 수중 드론을 반환하기 전 미국에 남중국해 감시활동 축소와 ‘해상 우발적 충돌방지 행동강령(CUES)’ 개정을 요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양위쥔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수중 드론 반환에 ‘적절한 방식’이라는 전제를 달았다. 상하이국제문제연구원 장저신 연구원은 “중국이 CUES에 수중 드론과 같은 무인잠수정을 포함하기 위해 CUES 확대를 미국에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실제 반환까지는 10일 정도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과 중국 일본 등 20여개국은 2014년 CUES에 합의했지만 수중 드론 내용은 빠져 있다. 중국이 CUES 확대를 원하는 것은 미국의 드론이 중국의 군 정보를 빼내는 데 이용되고 향후 양국 간 충돌 소지 가능성이 있어서다. 황둥 마카오국제군사학회장은 “미국이 중국 감시를 강화하거나 전투계획을 수립하려 한다면 드론이 수집한 최신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인민해방군 공식 홈페이지인 중국군망은 드론을 나포당한 미군 해양측량선 보우디치함이 실제로는 간첩선으로 세계 각지를 돌아다니며 정찰 활동을 해왔다고 주장했다. 또 이 함정이 2002년에도 중국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정보를 수집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와 관영 언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이 드론을 훔쳤다는 트럼프의 주장과 관련해 “남중국해 해역이 미국의 주머니 속 물건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반문했다. 또 “우리는 훔친다는 글자를 싫어하며 이 글자는 완전히 틀렸다”면서 “우리 해군이 발견했고 책임 있는 태도로 이 장치를 식별 조사했다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환구시보는 ‘불 위에 기름 붓는 트럼프는 대통령감이 아니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트럼프가 트위터에 ‘전대미문의(unprecedented)’라는 단어를 ‘대통령이 없는(unpresidented)’으로 잘못 표기해 미국 네티즌들이 비아냥거렸다”고 지적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中, 美 수중 드론 쉽게 안 돌려준다
입력 2016-12-19 18:33 수정 2016-12-19 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