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사진) 의원이 18일 “당 개혁의 전권을 행사하는 비대위원장을 맡게 된다면 기꺼이 그 독배를 마실 각오가 돼 있다”고 밝혔다. 또 “전권을 행사하는 비대위원장이 아니라면 그 어떠한 제안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비대위원 인선 등 전권이 부여된 비대위원장직을 친박(친박근혜)계가 공식 제안한다면 이를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비대위원장 인선은 새누리당 분당의 중대 분수령이다. 유 의원의 ‘전권 비대위원장’ 제안이 거부되면 비주류 탈당 가능성도 높아진다. 유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원내대표 선거에서 친박이 이겼다고 해서 친박 패권이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며 “고민을 함께하는 동료 의원들과 향후 행보를 논의해 결정하겠다”고 했다.
일단 비주류 소장파들과 ‘온건 친박’ 일부는 유승민 비대위원장 카드를 지지하고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추락한 새누리당을 환골탈태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이 깔려 있다. ‘친박 원내대표’와 ‘비주류 비대위원장’으로 계파 간 역할 분담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수도권 한 의원은 “당 쇄신의 진정성을 보이려면 박근혜 대통령과 가장 대척점에 선 유승민 카드를 꺼내야 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친박계 강성 의원들의 거부감이 크다는 점이다. 조원진 의원은 “보수 대통합을 위해 친박 2선 후퇴 방안도 나왔는데, 유승민 비대위원장 카드는 통합이 아니라 갈등만 초래할 수 있다”고 단언했다. 이런 기류를 읽은 유 의원이 탈당 전 명분 쌓기에 들어갔다는 해석도 있다.
비주류 한 중진 의원은 “대권 후보가 비대위원장을 맡으면 선수가 심판이 되는 격”이라며 “유승민 비대위 체제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새누리당과 손을 잡으려 하겠느냐”고 했다. 김황식 전 국무총리나 김형오 전 국회의장, 김태호 전 최고위원 등 ‘원외 카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남경필 경기지사와 김용태 의원 등 탈당파는 유 의원을 비롯한 비주류 측에 탈당을 거듭 요구했다. 남 지사는 비주류를 겨냥해 “정치적 계산을 그만둬라”며 “비대위원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친박계 인적 청산 결과가 달라진다고 믿느냐”고 지적했다.
글=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유승민 “전권 주면 비대위원장 맡겠다”
입력 2016-12-18 18:38 수정 2016-12-18 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