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호·이주열 경제-통화정책 수장 11개월 만에 회동, “동주공제” “긴밀 협력” 강조

입력 2016-12-17 00:09
유일호 경제부총리(오른쪽)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저녁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만찬회동을 갖고 경제·금융 관련 현안을 논의하고 있다. 뉴시스

경제·통화정책 담당 수장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자 지난 1월 이후 11개월 만에 전격 회동을 가졌다. 정부는 현 국면을 ‘비상 경제상황’으로 규정하고 서민생활 안정책을 적극 가동키로 했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만찬 회동을 갖고 최근의 경제·금융 현안을 점검하고 대응책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양측은 관계기관 합동점검반, 기재부·한은 간 거시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시장상황에 대한 정보와 인식을 공유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호공조하에 적절한 시장안정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두 기관의 간부와 직원들도 만날 기회를 자주 갖는 등 소통도 강화하기로 했다.

유 부총리는 인사말을 통해 “우리 경제 상황이 엄중하다 보니 기재부와 한은이 협력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며 “대내외 리스크(위험)를 관리해야 하고 소통하는 팀플레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넌다는 의미를 담은 고사성어 ‘동주공제(同舟共濟)’를 언급하며 “기재부와 한은이 힘을 합쳐 이 어려움을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총재는 “(경제의) 실물부문뿐 아니라 금융부문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는데 정부와 한은이 보다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정부와 긴밀히 협조하겠다”고 화답했다.

이 총재와 회동에 앞서 유 부총리는 방한 중인 필립 해먼드 영국 재무장관과 면담했다. 양측은 브렉시트로 교역·투자가 위축되지 않도록 양국 간 통상관계를 재정립하기 위한 협의를 긴밀히 추진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최상목 기재부 1차관 주재로 ‘범정부 비상 경제 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부처별 민생 현안 대응계획을 검토했다. 대내외 여건을 감안할 때 현재는 비상경제 상황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이에 경제 동향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면서 서민 생활 타격이 없도록 관련 대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정부는 서민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동절기 에너지 가격 등 공공요금 인상 자제를 관련 기관에 요청할 예정이다. 또 농축수산물 소비촉진 방안을 마련, ‘김영란법’으로 직격탄을 맞은 농가와 유통업계를 돕기로 했다.

총 60개 분야 2조6000억원 규모의 청년 일자리 예산은 내년 1분기에 집중적으로 집행키로 했다. 공공임대주택 공급, 행복주택·뉴스테이 확대, 주거급여 지원 등을 통한 서민 주거 안정책도 시행한다. 미소금융과 햇살론을 비롯한 4대 정책서민자금 지원 규모는 올해 5조7000억원에서 내년 7조원 규모로 확대한다.

부처별로는 소비활성화, 저소득층 소득 확충, 저출산 대응 등 과제를 추가 발굴해 이달 말 발표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는 내년 경제정책방향에 반영하기로 했다.

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