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문재인(사진) 전 대표가 내년 조기 대선과 관련해 15일 “누가 될지 모르지만 정권 교체는 확실하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문 전 대표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서 “국회에서 탄핵이 압도적으로 가결돼 불확실성이 없어졌다. 내년 1월 말에서 3월 초에 헌법재판소 결정이 예상되고 4∼5월에는 대선이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촛불민심은 박근혜 대통령이 헌재 결정을 기다리지 말고 즉각 퇴진하라고 요구한다”며 박 대통령이 헌재의 탄핵 결정 이전에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고 압박했다.
한·일 위안부 합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등 ‘박근혜표 정책’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봤다. 문 전 대표는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일본이 할 일은 법적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죄하는 것”이라며 “돈은 필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한국과 일본 정부는 지난해 12월 28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사과, 일본 정부의 10억엔(약 100억3000만원) 규모의 재단설립 지원 등을 골자로 하는 합의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아베 총리는 합의 직후 “더 이상의 사과는 없다”는 등의 망언을 쏟아냈다. 문 전 대표는 사드 배치에 대해서도 “진행을 다음 정부로 미루는 게 옳다”며 “총리가 대통령 권한을 대행하는 상황에서 사드를 강행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했다.
북핵 문제의 경우 압박과 대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문 전 대표는 “북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시험에 대해 강도 높은 제재가 필요하지만 제재와 압박의 목표는 북핵 폐기를 위한 대화 테이블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제재와 압박, 대화의 투트랙(two track)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 전 대표는 간담회 기조연설을 통해 박 대통령 탄핵 이후에도 한국 경제와 안보상황에 문제가 없음을 강조했다. 그는 “지금이 오히려 한국에 투자할 때”라며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지금이 대한민국에 베팅할 때’라고 (기사를) 써도 좋다”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문재인 “누가 될지 모르지만 정권 교체는 확실”… 외신기자클럽 간담회
입력 2016-12-15 18:12 수정 2016-12-15 2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