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의 경제력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뒤 북한의 양극화가 심화됐다는 진단도 나왔다.
통계청이 15일 발간한 ‘2016 북한의 주요 통계지표’를 보면 지난해 기준 북한의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34조5120억원으로 남한(1565조8000억원)의 45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1인당으로 따지면 북한의 GNI는 139만원으로 남한(3094만원)의 22분의 1 수준으로 집계됐다.
무역 총액은 북한이 63억 달러로 남한(9633억 달러)의 154분의 1밖에 안됐다. 북한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1.1%로 뒷걸음질쳤다. 남한은 2.6%였다. 또 북한의 인구는 2477만9000명으로 남한(5101만5000명)의 절반으로 파악됐다. 발전설비 용량은 북한과 남한이 각각 742만7000㎾, 9764만9000㎾로 13배 차이가 났다. 인구 100명당 북한의 이동전화 가입자는 12.88명이었고, 남한은 118.46명으로 조사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이날 주최한 북한경제 연구자 토론회에선 지난 5년간 북한에서 양극화가 심화됐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에 고가 휴대전화가 증가하고 사치품과 고급 빌딩들이 들어서고 있지만 이는 전적으로 암시장 환율, 즉 이중환율과 이중가격제로 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 원화의 급격한 하락은 암시장 환율과 공식 환율의 차이를 키우고 있고, 이로 인해 이미 높은 수준의 소득 및 자산을 가진 계층과 빈곤층 간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석기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경제가 1998년을 바닥으로 미약하지만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이러한 회복은 에너지 및 군수 관련 산업 중심의 투자 등으로 인해 매우 불균등한 모습을 보인다”고 했다.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北 1인소득 139만원… 南의 1/22
입력 2016-12-15 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