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계소득 증대에 초점을 맞췄다. 내수에 활기를 불어넣고, 가계부채 압박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기획재정부는 중·저소득층 가계의 가처분소득을 늘려 소비를 확대하는 방안을 내년 경제정책방향에 담을 계획이다.
유일호(사진)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경기가 어려워지면 가장 피해를 보는 건 저소득층이다. 소득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소득이 적은 1인 가구, 2인 가구가 많아지는 상황에서 생계급여 같은 복지제도 개선을 고민하고 있다. 일자리와 소득 문제를 망라해 전반적으로 소비를 끌어올릴 방안을 경제정책방향에 담겠다”고 덧붙였다.
유 부총리의 발언은 ‘낙수효과’에 기대지 않고 민생과 내수 위주의 성장 전략을 짜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기재부 관계자는 “내년 생계급여는 이미 지난 7월 지원 확대 방안이 나온 만큼 당장 추가하기 힘들다”면서 “경기 한파로 어려움을 겪는 계층에 대한 소득증대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 유 부총리는 “예산이 경기의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내년 1분기에 최대한 빨리 집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추가경정예산 조기 편성에 대해서는 “최대한 경기 대응을 한 뒤 그때 판단하겠다”며 유보 입장을 내비쳤다. 내년 경제정책방향은 예년보다 열흘 정도 늦은 오는 28일쯤 발표될 예정이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유일호 “서민 가계소득 늘리기 정책 집중”
입력 2016-12-14 1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