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사외이사 46% 검증을… 정부發 낙하산 여전”

입력 2016-12-14 18:17
금융권 사외이사의 절반 가까이가 전문성·독립성 측면에서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제개혁연구소는 109개 금융회사의 사외이사 447명(지난 6월 기준)의 경력을 분석한 결과 정부 낙하산 및 지배주주와의 관계 등 문제 소지가 있는 사외이사가 206명(46.1%)이라고 14일 집계했다.

연구소는 국책 기관의 정부 출신 낙하산 사외이사가 여전하다며 이복실 전 여성가족부 차관을 대표 사례로 꼽았다. 이 전 차관은 2014년 퇴임 후 올 초 4·13총선 당시 새누리당 비례대표를 신청했다가 탈락한 직후 IBK기업은행 계열 IBK연금보험 사외이사로 선임됐다고 전했다. 남선우 전 주미공사관 참사관 역시 고위 공직자 출신으로 IBK연금보험 사외이사가 됐다. KB손해보험은 올해 박진현 전 경북지방경찰청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연구소는 “정부 소유 금융회사의 경우 퇴직 10년이 지나지 않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 선임은 문제”라고 비판했다.

국가정보원 출신들의 금융권 사외이사 약진도 눈에 띄었다. 우리은행 계열 우리카드는 반채인 국가정보원 부이사관 출신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흥국생명도 국정원 출신 윤재동 사외이사를 뽑았다. 연구소는 “회사 공시에는 이들의 금융업 전문성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지배주주와 사외이사의 특수관계도 지적됐다. 연구소는 효성캐피탈의 경우 사외이사 4명 중 3명이 변호사인데, 조석래 효성 회장 형사사건 소송을 맡는 등의 인물에게 자리가 돌아갔다고 전했다. 신한금융그룹은 한동우 회장의 고교 및 대학 동문이 신한은행과 신한금융투자 사외이사를 맡고 있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