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3당, 이번 주 黃 대행과 회동 추진

입력 2016-12-13 17:58 수정 2016-12-13 21:05
김동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왼쪽부터)가 13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만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야3당 대표는 회동에서 이번 주 중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 만나 여야정 국정협의체 형식 등을 협의키로 의견을 모았다.곽경근 선임기자

야3당 대표가 이번 주 중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 회동해 국정 혼란 수습책을 논의키로 합의했다.

이들은 여야정 국정협의체의 구체적인 내용과 형식에 대해서도 황 권한대행과 협의할 방침이다. 하지만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회동에 참여해선 안 된다고 못 박았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국민의당 김동철 비상대책위원장,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13일 오후 국회 본청 귀빈식당에서 회동을 갖고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박근혜정부 적폐 청산과 개혁입법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헌법재판소에는 조속한 탄핵 심판절차 진행을 주문했다.

이들은 황 권한대행 체제가 한시적 과도 대행체제인 만큼 과도한 권한을 국회와 협의 없이 행사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또 최순실 국정농단 진상규명과 개혁입법 추진에 적극 협조할 것을 촉구했다. 야3당은 회동에서 업무 범위 문제를 확실히 짚고 넘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야3당 대표는 그러나 여야정 국정협의체와 경제부총리 선임 문제 등 이견이 있는 사안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았다. 민주당은 당대표가, 국민의당은 원내대표가 각각 협의체에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민주당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이견이 있는 부분은) 야권 내 입장을 정리해 황 권한대행에게 제안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야3당은 황 권한대행과의 회동에서 새누리당 이 대표는 배제할 방침이다. 박근혜정부의 ‘부역자’가 협상 대상이 돼선 안 된다는 취지다. 새누리당 비주류가 이 대표를 인정하지 않는 점도 고려됐다. 민주당 윤 수석대변인은 “새누리당 상황이 정리될 때까지 회동을 미룰 수 없어 일단 야3당이 먼저 하고 새누리당은 정리되는 대로 참여하라는 것”이라며 “이 대표가 아직 법적 대표니까 참여하겠다는 것은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입법부와 행정부 간 협의체 구성은 기본적으로 여야와 행정부의 회동”이라며 “야당만 참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반박했다.글=문동성 이종선 기자 theMoon@kmib.co.kr, 사진=곽경근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