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12일 정부와의 국정협의체 구성에 합의했지만 출범까지 난항이 예상된다. 협의체의 참여 주체에 대한 생각이 저마다 달라서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당대표,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원내대표 중심의 협의체를 고집하고 있다. 양측 모두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의 협의체 참여는 거부한다. 이 와중에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사퇴의사를 표명해버렸다.
여야 3당 원내대표는 12일 국회 본청 의원식당 별실에서 회동을 갖고 여야정 협의체 및 국회 내 개헌특별위원회 구성에 합의했다. 12월 임시국회는 이날부터 31일까지 열기로 했다. 29일로 예정된 본회의에서는 개헌특위 구성 등을 의결한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참여할 예정인 국회 대정부 질문은 20일(경제 분야), 21일(비경제 분야)로 잡았다.
여야가 협의체 구성에 합의했으나 출범 여부는 불투명하다. 협의체에 누가 참여할지 합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민주당 추 대표는 협의체에 당대표가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당 박 원내대표는 회동에서 이 제안을 반대했다. 새누리당 정 원내대표도 반대의사를 표명해놓고 회동 직후 원내대표직을 사퇴했다. 박 원내대표는 한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정 원내대표가 물러가고 새누리당에서 누가 원내대표로 나올지 모르는 상황이라 협의체의 공전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당대표 중심의 협의체가 꾸려진다 해도 가동은 쉽지 않다. 야권이 새누리당 이 대표를 협상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친박(친박근혜)은 안 된다는 논리다. 이 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야당은 수도 없이 말을 바꿔 왔다. 협의체에 대한 야당의 말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반발했다.
여야는 협의체가 공전할 경우 그간 진행돼 왔던 여야정 민생경제 현안점검회의를 통해 ‘급한 불’을 끄겠다는 계획이다. 이 회의에는 여야 3당 정책위의장과 경제·사회부총리가 참여한다. 민주당 지도부가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유임을 이날 사실상 결론내린 것도 이 같은 계산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참여주체 놓고 이견 못 좁혀… ‘여야정 협의체’ 시작부터 삐걱
입력 2016-12-12 18:08 수정 2016-12-12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