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사진) 국회의장이 14일 국회에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만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탄핵 정국 수습 방안을 논의하겠다는 취지다. 정 의장은 “성과가 있어야 한다. 얼굴만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지난 9일 탄핵소추안 표결 의사봉을 잡았던 정 의장은 12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회와 정부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야권에서 제의하고 여권에서 긍정적으로 반응한 국회·정부 간 협력을 통해 민생을 잘 챙기겠다”며 “국회와 정부가 서로 주도권을 행사하려고 노력하기보다는 겸양지덕의 자세로 국민을 제대로 섬기는 자세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정치권이 논의 중인 여야정 협의체 혹은 국회·정부 협의체에 국회의장이 포함될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이날 여야 3당 원내대표는 각 당 대표와 정 의장 그리고 황 권한대행을 포함한 협의체 구성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정 의장은 “민심은 탄핵만 요구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대한민국을 요구하고 있다”며 “국회가 ‘특권 내려놓기’를 선도하며 새로운 국가시스템 확립에 선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 전반의 특권과 정경유착 등 고질병 치료를 주도하겠다”고 덧붙였다.
정 의장은 헌법재판소를 향해 탄핵 여부를 빠르게 결정해 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국정공백이 더 이상 장기화돼서는 안 된다”며 “헌법재판소가 현명하게 빠른 시간 내 올바른 판단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헌론자인 정 의장은 임기 내 개헌 추진 의사를 재차 드러냈으나 대선 전 개헌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내 임기가 2018년 5월 말인데 그때까지 개헌이 되면 좋겠고, 최소한 20대 국회에서 이 숙제를 정리하면 좋겠다”면서도 “개헌은 100m 달리기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정 의장은 개헌의 방향에 대해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을 통해) 국민들 사이에 ‘제왕적 대통령제는 안 되겠다’는 공감대가 만들어져 있다”며 “어떤 제도든 간에 분권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
정세균 “국회가 새로운 국가시스템 선도”
입력 2016-12-12 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