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나 발전소 등에서 나오는 온실가스를 분리·정제해 메탄올이나 경유, 플라스틱 등 고부가가치 화학 원료나 제품을 만드는 ‘탄소 자원화’ 실증 로드맵이 나왔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연간 2500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16조3000억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2일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탄소 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 조기 실증 로드맵’을 발표했다.
미래부는 “지난달 4일 파리기후변화협정이 공식 발효되면서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현실화됐다”면서 “혁신적 온실가스 감축 수단인 탄소 자원화 기술 실증에 기업 참여 등 민간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이번 로드맵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탄소 자원화 기술은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CO)나 이산화탄소(CO2), 메탄가스(CH4) 등 탄소 화합물을 적극 활용해 유용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것이다. 크게 탄소 전환과 탄소 광물화 기술로 나뉜다.
탄소 전환의 경우 산업 부생(副生) 가스에서 일산화탄소만 95% 순도로 분리·정제해 화학물질을 만드는 기술이다. 2018∼2019년에는 1년에 9t의 일산화탄소를 정제해 3t의 화학물질을 생산하고, 2022년까지 일산화탄소와 화학물질의 생산량을 각각 1000배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부생 가스 활용이 용이한 전남 광양·여수 산업단지에 실증 플랜트 구축에 들어갔다.
탄소 광물화는 저농도 이산화탄소를 광물로 만들어 폐광산 채움재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현재 국내 폐광산은 2588개에 이르지만 이를 복구하기가 쉽지 않다. 정부는 2020년까지 연 6000t의 이산화탄소를 모아 폐광산 채움재 3만t을 생산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내년 초 범부처 단일 사업단을 발족해 2022년까지 6년간 475억원(국비 340억원)을 투입해 실증한 뒤 본격 상용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온실가스로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만든다
입력 2016-12-13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