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조사 특위는 이번 주 ‘세월호 7시간’을 정조준한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과는 무관하게 청문회와 현장방문 일정을 소화하면서 진상규명에 집중할 방침이다.
지난주 1·2차 청문회가 최순실 국정농단의 실체를 폭로하는 장이었다면 이번 주 3·4차 청문회는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일의 ‘잃어버린 7시간’에 초점이 맞춰진다.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및 특별검사 수사와는 별개로 핵심 증인들의 입을 통해 의혹의 실체에 접근한다는 구상이다.
우선 14일 열리는 3차 청문회에는 전 대통령 주치의인 서창석 서울대병원장, 이병석 연세세브란스병원장과 김원호 전 청와대 의무실장, 신보라·조여옥 전 청와대 의무실 간호장교, 김상만·정기양 전 대통령 자문의 등 총 16명이 증인으로 채택됐다. 국가안보실장이었던 김장수 주중 대사와 김석균 전 해양경찰청장, 윤전추·이영선 청와대 행정관, 최순실씨 단골병원의 김영재 원장, 차광렬 차병원그룹 총괄회장 등도 출석을 통보받았다.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의 행적과 의료 시술 의혹을 겨냥한 집중 추궁이 예상된다.
15일 4차 청문회에서는 최씨의 전 남편 정윤회씨와 최경희 전 이화여대 총장,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 박관천 전 청와대 행정관 등 30명의 증인이 채택됐다. ‘청와대 문건(정윤회 문건) 유출 사건’과 관련해 세계일보 기자 등 3명도 참고인으로 나선다. 정윤회 문건과 정유라씨의 이대 특혜 의혹 등이 중점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최씨 일가로부터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전 스피드스케이팅 국가대표 이규혁씨도 증인으로 출석한다.
특위는 16일에는 청와대 경호실을 현장방문, 대통령의 행적과 비선실세 등의 ‘보안손님’ 출입 여부 등을 탐문한다. 경호실 근무자로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던 경찰관 구순성씨와 대통령 머리 손질을 담당한 미용실 원장 정송주씨도 동행한다. 국조특위는 이어 차움병원과 김영재의원도 조사한다.
앞서 12일에는 여야 간사가 19일 5차 청문회 증인 채택을 협의한다. 야당은 최순실·우병우 등 불출석 증인과 삼성 장충기 사장, 포스코 권오준 회장 등을 부를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국조, 이번 주엔 ‘세월호 7시간’ 朴 대통령 정조준
입력 2016-12-12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