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계가 여전히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압도적 표차로 통과됐음에도 친박계 지도부는 즉각 퇴진을 거부했다. 비박계에 비상대책위원회 합의 구성까지 요구하고 있다. 당이 쪼개지더라도 당권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않겠다는 뜻이다. 조기 대선 정국까지 영향을 미쳐 지분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청산 대상은 자신들이 세운 대통령을 배신하고 몰아내겠다는 사람들”이라고 반박까지 했다. 폐족 위기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다. 대통령 탄핵 여부와 상관없이 저 살 길만 찾겠다는 구태 정치의 전형이다.
지난 주말 7차 촛불집회의 민심은 박 대통령뿐만 아니라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에도 책임이 있음을 분명히 말해줬다.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은 새누리당에 대한 심판의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친박계는 박 대통령이 최순실씨 공범 신세로 전락할 때까지 방치했다. 반대급부로 각종 특권을 누려 왔다. 그새 보수층 상당수는 새누리당 지지 대열에서 이탈했다. 친박계가 계속 새누리당 내에 존재한다면 보수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친박계가 박 대통령과 함께 역사적 책임을 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수순이다.
그러나 친박계 지도부 그 누구도 책임지는 이가 없다. 박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 형식상으로 침묵 모드를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친박계는 모든 것을 내려놔야 할 때다. 국민들을 향해 진솔하게 잘못을 시인하며 석고대죄해야 한다. 국민들은 친박계에 2선 후퇴 등 정치적 결단을 요구하고 있다. 새누리당 스스로 재산 전부를 국고에 헌납하고 새누리당 간판을 떼라는 주문까지 나오고 있다. 친박계의 그림자가 존재하는 한 보수 세력의 미래가 없기 때문이다. 국민의 목소리를 담아내지 못하는 ‘헌 집’은 더 이상 필요가 없다.
친박계에 대한 제대로 된 인적 청산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분당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아픔의 고통이 깊어야만 성숙할 수 있다. 정권 재창출에 대한 미련은 접어야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국민의 눈을 속이는 적당한 개혁이 아니라 올바른 보수 가치를 담을 수 있는 새로운 보수 정당이다.
[사설] 새누리, 해체 → 인적 청산 → 재창당 수순 밟아야
입력 2016-12-11 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