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로 여권의 분열이 촉진되고 있다. 새누리당이 보수정당 사상 처음으로 갈라서면 ‘제4정당’(원내교섭단체)이 탄생할 수 있다. 여야의 비주류는 개헌을 매개로 제3지대에서 손을 잡고 차기 대권을 노릴 가능성도 있다.
새누리당 비주류와 친박(친박근혜)계의 불편한 동거는 막을 내릴 전망이다. ‘탄핵 바람’을 탄 비주류는 폐족 위기에 내몰린 주류 친박계를 집중 공격하며 당 주도권을 거머쥘 태세다. 인적쇄신을 내세워 친박을 몰아내려 하고 있다.
‘친박 버티기’가 계속될 경우 비주류는 분당 선언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1호 당원’인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 찬성표를 던진 마당에 새누리당에 계속 남아 있기도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탄핵에 앞장섰던 새누리당 비상시국위 대변인 격인 황영철 의원은 9일 탄핵안 가결 후 기자들과 만나 “새집을 짓기 위해 헌 집을 허물고, 머물렀던 사람들이 집을 비워야 한다”며 이정현 대표의 사퇴를 촉구했다.
비주류 강경파 의원들은 일부 친박 의원들의 정계 은퇴까지 요구했다. ‘인적 청산’ ‘현실적으로 불가능’ ‘탈당’ 등 향후 대응책을 적은 것으로 보인 김무성 전 대표의 메모가 언론사 카메라에 포착되기도 했다.
개헌을 매개로 한 제3지대의 급속한 세력화도 여전히 살아 있는 시나리오다.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정의화 전 국회의장,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와 나경원 의원 등 개헌파 인사들은 모두 여야 비주류 진영에 있다. 이들이 세 결집에 나선다면 파괴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내년 1월 귀국할 예정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개헌을 명분으로 ‘제3지대’에 합류하면 정계개편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 등 야권 주요 대권주자들이 당장 개헌에 부정적 입장을 밝히고 있어 개헌 논의가 곧바로 동력을 얻기는 사실상 어려운 조건이다. 개헌파 내에서 개헌 방향이나 범위에 대한 주장이 서로 다른 점도 문제다.
김경택 최승욱 기자 ptyx@kmib.co.kr
보수정당, 사상 처음 갈라서나
입력 2016-12-09 2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