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경제부총리 임명 문제를 본격 협의키로 했다. 탄핵 이후 정국을 안정시키려면 경제 컨트롤타워 논란을 최대한 빨리 매듭짓고 민생을 챙겨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가결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 시기는 IMF 외환위기에 버금가는 경제위기”라며 “경제·민생 사령탑을 조속히 세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박 대통령이 지명한 임종룡 경제부총리 내정자에 대해서는 “그 자리에 합당한지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선을 그었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도 의원총회에서 “우리가 탄핵에 몰두할 때 민생경제는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며 “국민 편에 서서 민생경제를 보살피는 내일을 맞자”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또 “박근혜정부가 출범한 2013년 이후 성장률은 2%대로 고착화됐다”며 “박 대통령은 경제 실패로도 탄핵받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야당 지도부가 한목소리로 민생을 강조한 것은 최대 현안이던 박 대통령 탄핵이 일단락된 만큼 향후 경제 문제에 초점을 맞춰 정국을 이끌어가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주도권을 쥔 야당이 국정공백을 수습하는 데 실패할 경우 민심의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야권은 박 대통령이 ‘최순실 게이트’ 이후인 지난달 초 새 경제사령탑으로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내정하자 인사청문회를 거부해 왔다. 이후 민주당은 임 내정자가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국민 혈세를 낭비했다며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국민의당은 민생 해결 차원에서 경제부총리 문제를 먼저 해결하자고 제안해 야권 공조가 흔들리기도 했다.
‘탄핵 정국’에 돌입하면서 야3당은 지난달 24일 원내대표 회동을 통해 대통령 탄핵안을 표결처리한 이후 부총리를 논의키로 합의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그동안은 오직 탄핵에만 집중하기 위해 경제부총리 인준 등 다른 문제는 미뤄왔던 것”이라며 “향후 책임 있는 자세로 부총리 논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경제 컨트롤타워 논란 끝내기… 정치권, 부총리 임명 협의키로
입력 2016-12-09 18:36 수정 2016-12-09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