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즉시 퇴진’ 여부가 여야 공방의 새로운 불씨로 떠올랐다. 야권은 “빠른 시일 내에 박 대통령이 스스로 퇴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기다려야 한다”며 반대하고 있다. 대선이 빨라질수록 야권에 유리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야권 인사들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지난 6일 박 대통령의 ‘탄핵 즉시 퇴진’을 언급한 이후 이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유력 대권 주자로 떠오른 이재명 성남시장은 9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은 최대한 빨리 무조건 사퇴해야 된다”며 “이게 이 국가의 혼란과 위기를 극복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했다. 그는 “좀비가 제일 위험하다. 죽든지 살든지 해야 되는데 죽었는데 살아 있는 존재가 있으면 그 자체가 엄청난 혼란”이라며 박 대통령을 ‘좀비’에 비유했다.
국민의당도 즉각 퇴진을 주장했다. 이상돈 의원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탄핵이 가결됐다고 해서 헌재 판결을 기다려야 한다고만 할 수 없다”며 “민의가 확인됐고, 국회가 이미 결심을 했으니 대통령이 지금이라도 명예롭게 퇴진해 혼란스러운 시기를 조금이라도 단축해주는 게 옳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친박(친박근혜) 비박(비박근혜) 모두 박 대통령 즉시 퇴진에 반대하고 있다. 비박계 정진석 원내대표는 국회 본청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문재인 전 대표는 탄핵 일정 직후 하야투쟁에 돌입하겠다고 공공연하게 이야기하고 있다”며 “이는 반헌법적 주장”이라고 말했다. 이정현 대표도 “탄핵이 통과됨에도 불구하고 조기하야를 주장하는 것은 헌법과 법률에 맞지 않는 일”이라고 했다. 청와대도 즉시 퇴진에 반대하고 있다. 헌재 판단이라는 ‘법적 절차’에 따라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야가 즉시 퇴진 여부를 놓고 기싸움을 벌이는 이유는 대선 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서다. 민주당 문 전 대표와 이 시장,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 등 야권 유력 주자들은 ‘촛불 민심’을 등에 업고 최대한 빨리 대선을 치르는 게 유리하다. 여당은 대선 일정을 최대한 늦춰야 반전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새로운 불씨 ‘朴 즉각 퇴진’ 논란
입력 2016-12-10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