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가결되면 대선체제 전환 모색… 잠룡들 각축 본격화

입력 2016-12-09 01:05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왼쪽)와 정진석 원내대표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하루 앞둔 8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김지훈 서영희 기자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와 우상호 원내대표가 비상의원총회에서 참석자 발언을 듣고 있다. 김지훈 서영희 기자
김동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녹색 외투)이 국회 본관 앞 농성장에서 박 대통령 탄핵 구호를 외치고 있다.김지훈 서영희 기자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9일 가결되면 즉시 대통령 직무가 정지된다. 황교안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지만 리더십 상실로 국정 중심은 국회로 넘어올 공산이 크다.

그러나 정치권 역시 거국내각 구성과 정계개편 등을 놓고 새로운 갈등을 벌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조기대선 정국이 펼쳐질 경우 대권 잠룡들이 전면에 등장해 국정 이슈를 장악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은 탄핵 심판을 기다리면서 대선체제 전환도 모색해야 하는 이중고에 빠지고, 국정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많다.

탄핵안 가결 시 촛불 민심은 헌법재판소로 향하게 된다. 최종 판단까지 180일 걸리지만 사안의 중대성과 국정혼란 등을 감안해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야권과 새누리당 비주류가 압도적 가결 필요성을 주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은 8일 비상시국위원회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더 확실하게 (탄핵안을) 통과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세월호 7시간’ 내용 삭제를 요청한 것”이라고 말했다.

야권은 황 총리도 인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를 놓고도 갈등이 예상된다. 다만 금태섭 민주당 대변인은 최근 라디오 인터뷰에서 “(탄핵안이 가결되면) 총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국정관리 수준”이라며 “황 총리가 있다고 큰 문제가 생길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탄핵안이 얼마만큼의 찬성표로 가결되는지도 이후 정국에 중요한 요소다. 탄핵안이 230표 이상 찬성표로 가결될 경우 여권에선 새누리당 비주류가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에서 50표가량의 찬성표가 나온 셈이어서 친박(친박근혜)계 ‘변심’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주류 친박계는 사실상 폐족 운명에 놓이게 된다. 비주류는 ‘친박 인적청산’을 내세우며 당 쇄신 작업 주도권을 쥘 것으로 보인다.

야권이 주장하는 박 대통령 즉각 하야 목소리도 높아져 조기대선이 현실화될 수도 있다.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등은 이미 탄핵안 표결 뒤 대통령의 즉각 사임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탄핵 심판 도중 대통령 퇴진 추진은 위헌이라며 반대하는 입장이다.

탄핵안이 가결선(200표)에 턱걸이할 경우 여권은 극심한 자중지란에 빠질 수 있다. 새누리당 최대 계파인 친박계는 ‘단일대오’를 재확인하며 탄핵을 주장한 비주류 축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탄핵안 가결 이후 당 쇄신에 몰두하려 했던 비주류 계획도 전면 수정이 불가피하다. 친박 지도부가 버틸 경우 비주류 탈당 러시가 심화되고, 이는 곧 정계개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사진=김지훈 서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