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가능인구 내년부터 ↓… 2065년 인구 절반이 노인

입력 2016-12-08 18:37

한국 경제가 ‘고령화의 덫’에 걸렸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내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서는 반면 고령인구(65세 이상)는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청년층이 부양할 인구가 늘어 일본과 같은 ‘잃어버린 20년’이 도래할 수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8일 밝힌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을 보면 지난해 기준 5101만명인 국내 인구는 2031년까지 5296만명으로 증가하다가 50년 뒤인 2065년에는 4302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출생아는 50년 새 3분의 2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사망자는 2.7배 수준으로 증가하는 데 따른 것이다.

전체 인구 중 왕성한 경제활동을 하는 생산가능인구는 올해 3673만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인구로 빠져나가는 2020년부터 급격히 감소해 2064년에는 올해의 절반에 가까운 2062만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인구는 2025년 사상 최초로 1000만명을 넘어 2065년에는 전체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1827만명으로 늘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현재 1% 수준인 8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65년에는 10명 중 1명(11.7%)꼴로 급증하게 된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면서 유소년 인구(0∼14세)와 학령인구(6∼21세)는 점차 감소할 전망이다. 대학진학 대상이 되는 18세 인구는 지난해 66만명에서 10년 뒤 45만명으로 3분의 2 수준으로 감소하면서 대학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급속한 고령화로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의 부양 부담은 커진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를 나타나는 총부양비는 지난해 36.2명에서 2065년 115.6명으로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총부양비가 최저로 가장 젊은 국가이지만, 2065년에는 가장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연간 100조원에 이르는 건강보험 등 사회보험 지출도 급증하면서 국민들의 조세 부담과 정부의 복지 재정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한편, 행정자치부는 11월 말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68만7682명으로 지난해 말에 비해 15만8344명(0.31%) 늘어났다고 밝혔다. 남성은 2582만4429명이고 여성은 2586만3253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3만8824명 더 많다. 순유입(전입-전출)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 화성시로 21만여명이 유입됐으며, 순유출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남 창원시로 같은 기간 7만7000여명이 빠져나갔다.

세종=이성규 기자, 라동철 선임기자 zhibago@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