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결집’… D-1, 여야 표 계산 집중

입력 2016-12-07 17:55 수정 2016-12-07 22:02
박근혜 대통령 탄핵 표결을 이틀 앞둔 7일 여야는 표 계산에 집중했다. 현재로선 탄핵안이 근소한 표차로 가결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탄핵 부결의 후폭풍을 국회가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찬성 210∼215표가 나와 탄핵 가결선 200표를 넘길 것이라는 예측에 가장 힘이 실린다. 하지만 여권 계파에 따라 190∼230표까지 전망이 엇갈린다. 부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새누리당 비주류 모임인 비상시국위원회 관계자는 “여당에서 최소 50표의 찬성표가 나와 최대 230표까지 가능하다”면서 “비주류에서 빠지는 표도 있겠지만 자유투표에 따라 온건 친박 중 일부는 탄핵 찬성표를 던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친박(친박근혜)계 중진 의원은 “대구·경북지역 의원들이 흔들리고 있다”며 “190∼195표가 나와 탄핵이 부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야권에서 새누리당에 책임을 씌우기 위해 탄핵 반대표가 나올 것이라는 음모론도 계속됐다.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직접 탄핵 반대를 호소할 가능성도 있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탄핵이 부결돼도 박 대통령의 내년 4월 퇴진, 6월 조기 대선 일정이 이행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세월호 7시간’ 의혹이 탄핵의 막판 변수로 부상했다. 새누리당 비주류는 야권이 발의한 탄핵소추안의 ‘세월호 7시간’ 부분 삭제를 요청했다. 탄핵 찬성을 주저하는 새누리당 중간지대 의원들을 설득하기 위한 조치다. 황영철 의원은 “야당의 숙고를 요청하지만 이것이 탄핵 동참 조건은 아니다”고 했다.

야권은 탄핵안에서 ‘세월호 7시간’ 내용을 수정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우선 목표인 탄핵안 가결을 위해 여당의 삭제 요청을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당일 머리를 손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7시간 행적을 탄핵안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는 더욱 힘을 얻는 상태다.

하윤해 백상진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