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어느 한 과목도 녹록지 않은 ‘불수능’으로 분석됐다. 국어·수학·영어 만점자 비율이 1%를 크게 밑돌았다. 시험이 어려우면 높아지는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은 치솟았다. 만점과 1등급 구분점수(컷)의 격차도 벌어졌다. 상위권 내에서도 점수 차가 컸다는 의미다.
국·영·수·탐구 모두 어려웠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7일 ‘2017학년도 수능 채점결과’를 발표했다.
국어는 만점자 비율이 0.23%다. 만점자에 부여되는 점수인 표준점수 최고점은 139점이다. 지난해 최고점은 문과(B형) 136점, 이과(A형) 134점이었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다. 시험이 어렵게 나오면 표준점수는 상승한다. 올해 1등급 컷은 130점이다.
문과생이 보는 수학 나형 만점자는 0.15%였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137점으로 전년보다 2점 낮아졌다. 1등급 컷은 131점이었다. 이과생이 보는 수학 가형 만점자는 0.07%였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130점으로 지난해보다 3점 높아졌다. 1등급 컷은 124점이었다.
영어 만점자는 0.72%로 지난해(0.48%)보다 약간 높아졌다. 하지만 2012학년도 이후 국어 영어 수학 모두 만점자 1% 이하는 처음이다. 영어 표준점수 최고점은 139점으로 지난해보다 3점 상승했다. 1등급 컷은 133점이다.
탐구 영역에선 과목 간 난이도 차가 줄었다. 사회탐구는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가 지난해 6점이었는데 올해는 3점으로 좁혀졌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높은 과목은 법과 정치·경제로 68점이었다. 낮은 과목은 한국지리·세계지리·생활과 윤리로 65점이었다. 과학탐구도 과목 간 차이가 지난해 13점에서 올해 5점으로 줄었다. 올해 물리Ⅰ이 72점으로 가장 높았고 물리Ⅱ가 67점으로 가장 낮았다.
서울권 최상위 학과 530점대
변별력이 높아지면서 최상위권∼중위권의 수능 성적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했다. 탐구 과목 난이도도 예년보다 편차가 줄었다. 최상위권은 지원 전략을 짜기 편할 전망이다. 입시 전문가들은 불확실성이 줄었으므로 하향 지원보다 소신 지원에 무게를 두라고 조언한다. 종로학원하늘교육 임성호 대표는 “상위권의 소신 지원으로 상위권에서 하향 지원하는 인원이 줄 것이다. 중위권도 하향 지원보다 ‘소신 2곳, 안정 1곳’ 방식으로 접근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표준점수 800점 만점 기준으로 서울권 최상위 학과는 530점 중·후반대가 될 전망이다(표 참조). 주요 대학의 인기학과는 520점대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의대는 서울대 537∼538점, 연세대 536∼537점, 고려대 532∼534점으로 예상된다. 경영학과는 서울대 536∼537점, 연세대 533∼535점, 고려대 532∼534점으로 추정된다.
‘아랍어 로또’ 현상은 올해도 이어졌다. 제2외국어 응시생의 71.1%(5만2626명)가 아랍어로 쏠렸다. 모든 문항을 ②번으로 체크하면 5등급, ⑤번이면 4등급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글=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사진=곽경근 선임기자
[2017 수능채점 결과] ‘불수능’에 표준점수 상승… 국어·수학이 당락 변수
입력 2016-12-07 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