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국회 표결이 사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지역 국회의원들의 움직임이 분주해졌다. 이번 표결이 박 대통령뿐만 아니라 본인의 정치적 명운을 가를 것이라는 판단에 의원들은 민심과 당론, 대통령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며 막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민심청취형
새누리당 이철규(동해·삼척) 의원은 5∼6일 주민 여론조사를 실시해 7일 그 결과를 발표하고 그에 따라 찬반 투표에 임하기로 했다. 이 의원은 6일 “평소 중요한 사안인 경우 지역구 주민의 뜻을 물어 결정하겠다고 주민과 약속해 왔고 역사에 남을 일인데 민의와 거꾸로 가는 표결을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전북지역 유일의 새누리당 소속인 정운천(전주을) 의원은 도민의 뜻을 받들어 찬성표를 던지겠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초선 의원 설득에도 나서겠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국민의 뜻을 받들어 탄핵에 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침묵형
인천지역 의원들은 시민단체의 ‘의원직 사퇴’ 압력 속에서 공식 반응을 자제하며 바짝 엎드렸다. 인천비상시국회의 등은 6일 정유섭 윤상현 민경욱 의원 사무실 앞에서 규탄 발언과 함께 의원직 사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해당 의원들은 공식 반응을 자제한 채 사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충북지역의 새누리당 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의원과 경대수(증평·진천·음성) 의원도 시종일관 굳게 입을 닫고 있다.
눈치보기형
매일신문에 따르면 경북지역 13명 의원 중 탄핵반대 입장을 밝힌 의원은 최경환(경산) 김석기(경주) 이철우(김천) 등 3명이다. 나머지 10명의 의원은 유보적인 입장이거나 찬반 응답을 피했다.
새누리당 박명재(포항) 의원은 “찬반 여부의 첫째 기준은 국가(국민)의 미래, 둘째는 당론”이라며 “어떤 선택이 난국 수습에 도움이 될 것인지를 심사숙고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지역은 새누리 유승민(동을) 주호영(수성을) 의원이 탄핵 찬성 입장을 분명히 했다. 조원진(달서병) 추경호(달성) 의원은 반대했고 나머지 6명은 유보 또는 응답하지 않았다.
울산지역 의원들도 전전긍긍하고 있다. 새누리당 소속 4명(박맹우 정갑윤 이채익 강길부)은 최근 울산시민연대가 보낸 ‘대통령 탄핵안에 대한 입장’ 등 2개항의 공개질의서 답변을 거부했다.
부산지역 새누리당 의원들도 눈치만 살피고 있다. 지역 여론조사 기관이 부산지역 의원 18명을 대상으로 탄핵 입장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새누리당 의원 13명은 찬성 1, 반대 1, 입장 유보 11명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 의원 다수가 과거 친박(친박근혜)으로 분류됐던 정치적 인연 때문에 탄핵 민심에도 쉽게 마음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의리파형
새누리당 친박 핵심 이정현 대표는 탄핵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구인 전남 순천시민들은 이 의원에 대해 ‘국회의원직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새누리당 친박 중진인 서청원(화성갑) 홍문종(의정부을) 의원도 탄핵에 반대하는 대신 질서 있는 퇴진에 힘을 싣고 있다. 새누리당 3명의 대전지역 국회의원 가운데 친박 돌격대장 이장우(동구) 의원만 반대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친박 중진인 정우택(청주 상당) 의원도 탄핵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정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탄핵보다 대통령 임기 단축 시기 조정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성난 민심은 이해하지만 다음 대선 준비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전국종합 sjseo@kmib.co.kr, 삽화=전진이 기자
눈치보거나 침묵하거나… ‘선택’ 내몰린 의원들
입력 2016-12-07 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