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 타깃 된 이재용… ‘삼성 청문회’ 방불

입력 2016-12-07 00:03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조사 특위 1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참석해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 특위(국조특위) 청문회의 주인공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었다. 사실상 ‘이재용 청문회’라는 말도 나왔다. 날카로운 질문들이 이 부회장에게 쏟아졌다.

특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이 부회장을 상대로 ‘비선실세’ 최씨의 존재를 알았던 시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당시 국민연금을 활용해 이 부회장의 그룹 지배권 승계에 활용했다는 의혹 등을 집중 추궁했다. 청문회에는 재벌 총수 9명이 출석했지만 특위 위원들은 여야를 가리지 않고 이 부회장에게 파상공세를 펼쳤다. 이 부회장은 “잘 모르겠다”는 답변으로 공세를 피해갔다.

특위 위원들은 이 부회장이 최순실씨를 언제 알았는지, 삼성이 최씨 일가에 35억원을 특혜 지원한 것을 보고받았는지 집중 추궁했다. 새누리당 이만희 의원이 “비선실세 최씨의 존재를 언제 알고 있었느냐”고 묻자, 이 부회장은 4초쯤 뜸을 들이다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 아주 오래된 것 같지는 않다”고 얼버무린 뒤 고개를 숙였다. 민주당 박범계 의원이 “재단 출연기금을 비롯해 삼성이 최씨에게 35억원을 지원한 부분을 보고받았느냐”고 묻자 “당시엔 몰랐다”고 답변했다. 민주당 도종환 의원이 “43억원을 들여 정씨에게 제공한 것을 알고 있느냐”고 묻자 이 부회장은 “적절치 못한 방법으로 지원된 것을 인정한다”며 “세세하게 챙기지 못한 것이 정말 후회 막심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도 도마에 올랐다. 이 의원은 “법적 요건은 갖췄지만 삼성물산 주주 입장에서 불공평했다는 의견에 동의하느냐”고 물었다. 이 부회장은 “합병 후 삼성물산 쪽 사업 부실이 많았기 때문에 창피한 일”이라면서도 “결과적으로 손해가 났다는 얘기에는 동의하지 못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합병 당시 이 부회장이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을 만난 과정을 따져물었다. 박 의원은 “삼성물산 주식 없이 제일모직 주식만 갖고 있었던 이 부회장이 합병과 관련해 개인 이해당사자로서 홍 전 본부장을 만났다”며 “국민연금을 이용해 본인 승계에 이용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 부회장은 “양사 합병이 제 승계와는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다. 박 의원이 “자기 자신의 힘으로 재산이 증식된 적이 있었나. 이걸 사자성어로 하면 불로소득”이라고 하자 이 부회장은 “제가 부족하다. 지켜봐 달라”고 했다.

민주당 손혜원 의원은 삼성의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이 합병 과정을 주도했다고 주장했다. 참고인으로 출석한 한성대 김상조 교수는 “삼성그룹의 결정은 계열사가 아니라 미래전략실에서 한다”며 “막강한 권력을 바탕으로 무리한 결정을 내리지만 책임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부회장은 “합병한 지 이제 1년이 조금 넘었다”며 “합병이 올바른 결정이었다는 점을 증명하겠다”고 했다.

위원들은 이 부회장에게 최씨 관련 부분을 미래전략실로부터 보고받았는지 여부를 추궁했지만 의혹을 풀기엔 역부족이었다. 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장충기 미래전략실장이 정씨에게 말을 사주고 최씨에게 돈을 대준 내용을 보고받지 못했느냐”고 묻자 이 부회장은 “기억을 더듬고 있는데 문제가 되고 나서 얘기를 들었다”고 답했다. ‘삼성 계열사들이 일제히 재단 출연금으로 75억원을 출연한 것은 이 부회장 지시 때문 아니냐’는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 질문에는 “전국경제인연합회 회비 배분하듯이 내부에서 배분한 것”이라고 답했다.















글=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