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미래의 주역 어린이·청년 정책 심혈… ‘어린이·청소년의회’ 내년 1월 개원

입력 2016-12-06 18:25
광주시가 전국 최초의 청년위를 신설하고 내년 1월 제1대 어린이·청소년 의회를 개원하는 등 어린이 청년정책에 주력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7월 대구청년주간 축제에 참석한 광주청년위 2기 위원들.광주시 제공

민주·인권·평화의 도시 광주광역시가 미래주역인 어린이·청년들을 위한 정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어린이와 청년들이 민주시민으로 자랄 수 있도록 그들의 눈높이에 맞는 의회를 전국 최초로 개원하는게 대표적이다.

광주시는 “지난 2월 청년위 2기가 출범한 데 이어 내년 1월에는 전국 최초의 어린이·청소년 의회가 개원 한다”고 6일 밝혔다.

제1대 광주 어린이·청소년 의회는 올해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 의원 22명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11월 7일∼27일 3주간 광주지역 14개 초·중·고에서 교내 선거를 실시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교 2년생까지 다양한 연령인 어린이·청소년 의원 당선자들은 그동안 창당된 ‘사람답게 살고싶당’ ‘청소년이 참여한당’ 등 8개 정당 중 6개 정당에 소속돼 있다. 이들은 앞으로 광주시의 어린이·청소년 정책을 자문·심의하고 관련 예산의 수립과정에도 참여하게 된다.

시는 어린이·청소년들이 민주시민으로 올바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이들의 정책참여를 보장하고 향후 확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광주발전의 원동력이 될 어린이·청소년의회는 법적 구속력은 갖지 않지만 미래주역인 10대들의 의견을 전반적으로 대변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20대 청년들의 목소리를 담고 ‘청년도시’ 실현을 위해 지난해 출범한 청년위원회가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학생과 청년CEO, 문화·시민 활동가 등 47명이 경제·일자리, 문화·삶의질, 교육·진로, 참여·소통 등 4개 분과에 참여한 청년위는 청년 눈높이에 맞는 분야별 중장기 청년정책과 시정 아이디어 개발은 물론 또래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시정에 반영 중이다. 다른 지자체와 해외의 청년 간 교류·연대 활동을 강화하고 광주청년센터 운영, 청년의 거리 조성, 청년상인 경연대회 등도 추진하고 있다.

임기 1년으로 올해 2월 2기가 출범한 청년위는 지난해 12월 청년의 사회 참여 보장과 정책개발 등을 위한 ‘청년정책 기본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

청년들의 꿈과 도전정신을 엮은 청년위가 그동안 제시한 ‘빛고을 청년야시장 사업’ 등 정책제안과 ‘광주청년 문화카드 지급’ 등 참신한 아이디어는 실제 시 살림에 반영됐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미래의 주인공은 어린이·청소년과 청년들”이라며 “민선 6기 들어 신설한 청년 전담부서와 함께 명예 청년부시장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