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6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백옥주사 등을 처방했다는 이선우 의무실장의 발언을 부인하지 않았다. “직원들 건강관리용”이라고 했던 당초 공식 해명이 거짓말이었음을 자인한 셈이다.
이 실장은 ‘청와대 의무실 참고자료’를 내 “태반·감초·백옥주사를 미용 목적으로 결단코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에게 처방을 한 건 맞지만 노화 방지, 피부 개선 등의 목적은 아니었다는 설명이다. 이 실장은 “대통령은 갱년기를 넘긴 여성”이라고 언급하면서 “의료진은 대통령의 건강관리를 위해 반드시 휴식을 취해야만 한다고 제안했지만 이를 실현하기 어려웠다. 치료 방법이 적절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비난받아야 할 대상은 무슨 주사인지도 몰랐던 환자가 아니라 의사에게 있다”고 해명했다. 또 “생명처럼 여겨야 하는 환자의 의료 비밀을 누설한 것에 대해서는 책임질 각오가 돼 있다”고 했다.
이 실장은 전날 최순실 국정조사특위’ 기관보고에 출석해 박 대통령에게 백옥·태반·감초주사를 처방한 사실을 인정해 위증 논란에 휩싸인 상태다. 또 “일반 직원을 대상으로 태반주사를 처방한 적은 없다”며 청와대 해명과 배치되는 발언도 했다.
청와대는 지난달 22일 의학적으로 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주사제를 대량 사들였다는 언론 보도에 “경호원 등 청와대 전 근무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정상적으로 구매된 것”이라고 했었다. 청와대는 2014년 11월부터 올 6월까지 태반주사 150개, 감초주사 100개, 마늘주사 50개를 구입한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청와대의 거짓 해명 논란은 이전에도 불거졌다. 대표적인 것이 ‘세월호 7시간’이다. 청와대는 지난달 19일 홈페이지 ‘이것이 팩트다’에 글을 올려 언론 오보 때문에 박 대통령이 피해 상황의 심각성을 오후 2시50분에야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감사원의 ‘청와대에 대한 조사 과정 및 내용’ 문건에는 청와대 안보실이 당일 오전에 이미 해경 핫라인을 통해 “탑승자 대부분이 배에 있는 것 같다”는 보고를 받고 이를 대통령에게도 보고한 것으로 돼 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언론과의 유일한 공식 소통 창구인 대변인 오전 브리핑을 이틀째 취소했다.
권지혜 기자
‘백옥주사 거짓말’… 靑 이틀째 묵묵부답
입력 2016-12-06 18:16 수정 2016-12-06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