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캐스팅보터는 새누리당 비주류라는 데 별다른 이견이 없다. 당 비상시국위원회는 비주류 40명 중 최소 35명의 찬성표가 확보됐다고 밝혔다. 야권 165명과 탄핵 찬성파 무소속 의원 7명 등 172명을 합하면 탄핵가결선(200명)보다 7표 많다.
문제는 변심이다. 현재로선 박 대통령이 자진사퇴 시점을 밝히고 완전한 2선 후퇴 카드를 동시에 던졌을 때 비주류 일부가 동요할 수 있다는 우려가 가장 큰 변수로 꼽힌다.
새누리당 비상시국위 소속 황영철 의원은 5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35명까지는 분명히 탄핵안에 동참할 의원이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가결정족수를 충실하게 지켜낼 숫자는 확보했다”고 말했다. 그는 오히려 “문제는 야당이다. 야당에서 최근 이러저런 이유로 ‘이탈표’가 나올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비주류 내 탄핵파는 유승민 의원을 중심으로 대오를 형성하고 있다. 김영우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이 명백한 잘못을 저지르고 국민을 분노하게 했을 때 국회가 법적으로 할 수 있고 해야만 하는 일은 탄핵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비주류가 9일까지 단일대오를 확실하게 유지할 것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온건 성향의 비주류 의원들이 아직 탄핵보다 자진사퇴가 안정적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일보가 지난 3∼4일 비주류 의원들을 상대로 긴급 전화설문조사를 했을 때도 박 대통령의 확실한 입장 표명을 전제로 한 탄핵 반대 의사가 상당수 확인됐다.
하태경 의원도 “비상시국위에서 탄핵안에 찬성한다는 결론을 내린 것은 아니고, 여야 합의가 없으면 표결에 참여하기로 한 것”이라며 “실제로 하야 선언을 했을 경우 찬성이 많을지 반대가 많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비주류에서 7명만 이탈하면 탄핵 가결정족수 확보를 단정하기 어렵다. 비상시국위는 6일 오전 간담회를 갖고 대오 정비에 나설 예정이다.
친박(친박근혜)계 이탈표가 비주류 이탈표를 상쇄하거나 뛰어넘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황 의원은 “친박계에도 탄핵에 찬성하는 의원이 3명 이상”이라며 “(이 숫자는) 저에게 개별적으로 연락을 주신 분들”이라고 했다. 친박 성향의 한 초선의원도 “오늘 당장 탄핵안을 투표할 경우 비주류 외에 10∼15명 정도가 찬성표를 던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친박계도 “9일 본회의를 보이콧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탄핵 가결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전망도 나온다.
당내 ‘중도지대’의 선택 역시 중요하다. 한 재선의원은 “최근 들어 친박계는 40∼50명 수준으로 줄고, 대신 비주류를 제외한 중도지대가 50명 정도로 늘었다”며 “이들 중 15명 내외는 언제든 입장을 바꿀 수 있는 유동적 입장”이라고 말했다.
친박계 이탈이나 중도지대 표심 결정에도 ‘대통령의 결단’이 중요 잣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당 지도부가 9일 탄핵안 자유투표를 잠정 결정하면서 향후 사흘간 정치상황이 중요 변수가 됐다. 주류 친박계는 박 대통령이 자진 사퇴시기를 밝히며 모든 것을 내려놓을 경우 중도지대 의원들이나 비주류들이 탄핵만 고집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 6일 오후 의원총회에서 설득작업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반면 범친박계 의원은 “퇴진시기와 2선 후퇴 언급은 이미 예상 가능한 카드”라며 “이를 뛰어넘는 ‘플러스알파’를 대통령이 제시하지 않는 한 분위기를 바꾸기 어렵다”고 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6일 의총에서 대통령 탄핵안 표결 등을 이유로 사의를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글=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비박 35명 확보?… 한치 앞 예측도 힘들다
입력 2016-12-06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