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전방위 압박 나선 野, “부결 땐 국회해산” 비장

입력 2016-12-05 18:07 수정 2016-12-05 21:32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운데)와 소속 의원, 당직자들이 5일 저녁 국회 본관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촛불집회를 하고 있다. 촛불로 만든 ‘탄핵’ 글자가 보인다(위사진). 김동철 국민의당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과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국회 앞에서 박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를 하고 있다.최종학 선임기자

야권이 탄핵 가결을 위한 전방위적 압박에 착수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내년 4월 퇴진을 위한 여야 협상도 일축하며 퇴로를 차단했다. 탄핵이 부결될 경우 전원 의원직을 사퇴하는 것은 물론 국회를 해산해야 한다는 비장한 각오도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은 5일부터 탄핵 3단계 행동에 착수했다. 당 지도부를 시작으로 의원과 당직자들까지 합심해 이날 오후 2시부터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서 ‘탄핵 버스터(필리버스터·무제한토론)’를 시작했다. 탄핵버스터는 인터넷 라디오 ‘팟캐스트’로 생중계도 한다. 혹시 모를 여야 비주류의 투표 이탈을 견제하고, 민심을 전하기 위한 것이다.

이날 탄핵버스터는 김영주 최고위원을 시작으로 전해철·김병관·김춘진·최인호·양향자·심기준 최고위원이 1시간씩 ‘바통’을 이어받았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국회의원 전원이 참석해 국민들께 국회 상황을 전달할 것”이라며 “탄핵 가결의 전 과정을 국민과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또 매일 ‘탄핵 의총’을 열고 상황 변화에 따른 의원들의 행동 지침을 공유할 예정이다. 국회 앞에선 매일 오후 6시 촛불집회를 열고 ‘촛불로 인간 띠 잇기’ 등의 행사도 진행한다.

국민의당도 탄핵 가결 시까지 24시간 비상체제를 유지한다. 김동철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은 “9일까지 남은 100시간이 우리에겐 너무나도 중차대한 시간”이라며 “모든 힘을 다해서 이 불의한 정권의 대통령을 탄핵하겠다”고 말했다.

야권은 박 대통령 퇴진을 위한 여야 협상을 거부하겠다는 의사도 분명히 드러냈다. 우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마치 탄핵안이 부결되면 바로 4월 하야, 6월 대선 일정을 논의하는 것처럼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며 “박 대통령은 지금 즉시 물러나겠다고 선언하고 짐을 싸서 삼성동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주 최고위원도 “민심은 이제 하야가 아니라 ‘하옥(下獄)’”이라며 “새누리당도 ‘4월 퇴진’ 당론을 폐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의원직 사퇴는 물론 국회 해체를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추미애 대표는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당내에서는 탄핵이 부결되면 국회를 스스로 해산하자는 의견이 있다.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회 해산권은 1987년 개정된 헌법에서 삭제됐고, 국회의원은 헌법상 4년 임기를 보장받는다. 실제 국회 해산을 위해선 국회의원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는 방법이 유일한데, 사실상 현실화 가능성은 없다.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야당은 전원이 의원직을 사퇴할 각오로 탄핵 가결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무소속 김종훈 윤종오 의원은 탄핵 표결이 치러지는 9일 국회를 국민들에게 개방해줄 것을 정세균 국회의장에게 요청했다. 정 의장은 “검토해 보겠다”고 답했다.

강준구 고승혁 기자 eyes@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